☞굿위드 경제야 놀자!

최근 중국 정부가 헝다의 ‘제한적 디폴트’ 선언 이후로 지급준비율을 0.5% 인하하였다. 이로 인해 중국 내에서는 약 222조 5400억 원의 유동성이 추가적으로 풀릴 예정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중국 정부가 낮춘 지급준비율이란 무엇일까?

우리가 시중에서 자금을 맡기거나 대출을 받는 은행은 본원통화를 관리하는 은행이 아닌 중개업자로서의 역할이 크다. 본원통화는 국가은행인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며 일반 시중은행을 통하는 방법과 국채의 매입, 매도를 통해 시장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시중은행을 통한 통화량의 공급 조절이 금리 인상 혹은 지급준비율을 통한 파생 통화량의 조절이다.

예를 들어보자. 은행에 고객으로의 예금 혹은 중앙은행으로부터의 대출에 의해 1000억의 자금이 있다고 가정하자. 은행은 대출을 통한 이자 수익을 늘리기 위하여 1000억의 자금으로 예대마진을 계산하여 시중에 자금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1000억을 모두 빌려주었는데 급격한 경기 불황이나 담보 대상에 대한 파산설이 돌아 리스크가 발생한다는 소문이 돈다면 은행에 예탁한 자금을 인출하기 위해 너도나도 몰려오게 될 것이다.

은행은 인출자에게 맡겨 둔 예금과 소정의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데 만약 돌려줄 자금이 여의치 않다면 어떻게 될까? 은행이 단기간에 대출해 준 자금을 회수하여 예탁자에게 돌려줄 수 있을까?

또는 은행을 통해 사업 운영 자금을 받으려던 기업의 자금에 대한 집행이 되지 않는다면 그 기업은 어떻게 될까? 이처럼 단기간에 은행의 자금 유동성 즉, 돈줄이 막히면서 신용경색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 우리가 이야기하는 뱅크런(Bank run)이다.

실제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의 금융위기 사유 중 하나이기도 한 뱅크런에 은행과 국가에서 대비를 해 두는 것이 “지급준비율”이다.

1000억 중 일정 금액은 지급준비율(지급준비금)로 두고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신용경색을 막기 위한 하나의 제도로 정착화 시킨 내용인 것이다.

▲ 사진:굿위드 제공
▲ 사진:굿위드 제공

다시 내용으로 돌아가보면, 헝다 사태는 지금 어마어마한 금액의 채권에 대한 디폴트(상환 포기)를 선언한 상황이다. 그것도 원금도 아닌 이자 부분에 대해서만 진행되는 것이니 향후의 리스크는 현재보다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이자의 미지급으로 인해 헝다와 관련된 채권자들 혹은 연계산업들은 단기간은 버티겠지만 미결제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을 것이고 당장의 며칠은 버틸 수 있으나 연계산업들은 자금이 돌아오지 않으면 임금을 지불할 수 없고, 관련 산업에 투자한 인원이나 최종제를 공급받는 계약을 한 사람 모두 경제적인 손실을 입게 된다.

이러한 파생되는 리스크가 보일 때, 일반적으로 국가 기관은 관련 업계에 재정적인 지원을 하며 장기적으로 지급준비율의 인하가 아닌 인상을 진행하거나 향후 이어질 수 있는 대출 관련된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옳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재정적인 지원인 구제금융에 대해서는 냉소적이며 지급준비율을 낮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만을 진행하고 있다.

일시적으로는 시장의 안정을 유도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임계점에 다다르게 된다면 헝다에 투자한 채권자들 역시 대손충당금을 넘어서는 자금에 대한 대비로 해외에 투자한 부동산이라든지 기타 투자자산에 대한 자금 회수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그렇게되면 투자대상이 되었던 국가나 투자대상의 변동성이 불러올 나비 효과는 현재로서는 가늠하기가 어렵다.

헝다의 채무자들 중에는 굵직굵직한 대형 글로벌 은행들도 많다. 헝다 디폴트가 실질적으로 일어나게 된다면 이들이 감당해야 할 채무와 그 대비로 인한 자금 회수는 글로벌 시장에 어떤 타격을 주게 될까?

금리 인상이나 헝다 디폴트 등등 여러 가지 노이즈가 시장의 변동성을 높게 만들고 있다. 따라가는 투자보다 조금 멀리서 관망하는 투자 관점이 필요할 듯하다.

 

 

▲ 문견후 투자자산운용사

<약력>

자산관리사
공인재무설계사
투자자산운용사
㈜굿위드연구소 자문 자산운용역

 

 

 

 

 

외부 기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