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2028학년도 대입 개편과 관련, 교육부와 일선 교사들의 견해가 엇갈리는 등 벌써부터 불협화음이 일고 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30일 학생부종합전형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은 전체 대학입시 제도 개선의 단기 방안이라면서 중장기 대입 개편은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에 있음을 밝혔다.

유 부총리의 발언은 단기적으로는 학종 실태를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중장기 개편 논의를 시작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마디로 이번 정부에서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학종 개선방안 발표 후에 본격적인 논의 형태와 시기를 구체화 하겠다는 얘기다.

정시 확대 여론에 대해서도 지난해 공론화 과정을 통해 2022학년도에 정시를 30%까지 늘리기로 한 만큼 우선 이를 현장에 안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시 확대 요구는 곧 학종에 대한 불신에서 출발했다고 본 것이다.

이 같은 시각에 대해서 일선 교사들의 생각은 달랐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대입제도개선연구단이 같은 날 경남교육청에서 발표한 대입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위한 고교 교사 대상 설문조사 결과는 한마디로 대입개편의 주체가 누가 될 것인가에 쏠려 있었다.

지난 8~9월 전국의 고교 교사 8091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조사는 2015년 개정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운영에 따른 바람직한 내신평가 체제'에 대해 교사의 79.4%가 절대평가를 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한 현재의 수능이 2015년 개정교육과정의 역량을 평가하는데 적절한가를 묻는 질문에서도 54.8%가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이는 새로운 대입전형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교육부가 주도하는 대입정책의 논의 주체가 변화해야 한다는 교사들의 인식(75.8%)도 확인됐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입정책은 어떤 방식으로도 문제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지난 결과에 따른 보완책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시각차이가 여전하다는 것이 또 다른 문제다.

제도개편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의 제1주인공은 교육부와 교사 모두가 1순위는 아니다. 제도가 개편될 때마다 춤을 춰야 하는 예비 수험생들의 고민과 고충을 들어보는 게 먼저다. 필요하다면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수능 준비를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이 무엇인지 물어야 한다. 거기에 학부모들과 일선 교사들까지 교육의 3주체의 목소리를 듣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당국은 그동안 일방통행식 대입제도 개편과 교육정책이 낳은 폐해에 대해 진지한 고민과 성찰은 했는지 되돌아 보아야 한다.

말로만 백년대계를 외치고 탁상공론에서 나온 대안을 가지고 전문가의 견해인 마냥 발표하고 시행하는 일이 되풀이 되는 일은 더 이상 국민의 공감대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