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중영 사단법인 경호원 총재

 

[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사단법인 경호원 총재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시들해지고 일본제품 구매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일본인들은 일본의 제품이 한국의 제품보다 더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한국의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 2018년 일본차의 한국판매는 3만6661대이고, 2019년도에는 불매운동으로 19%감소했다. 근래도 일본차는 우리나라에서 2만 8천대 이상이 팔린다. 요즘 들어 일본차 판매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국차는 2019년 일본에 고작 수 십대밖에 팔지 못했다. 대부분이 트럭이나 버스이다. 승용차는 고작 몇 대에 불과하다.

현대자동차 판매 법인은 2000년에 설립하였으나, 판매부진으로 2009년에 철수하였다. 자동차의 판매 대수만 비교하여 보더라도 무척 심각한 적자를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은 무역상대 10대국가 중 일본과의 무역거래에서만 무역적자를 보고 있다. 2019년도에는 불매운동으로 한국일본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가 1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그럼에도 한국은 2019년에도 163억달러 상당의 무역수지 적자를 보고 있고 있다. 2018년도에는 206억달러 상당의 무역수지적자를 보았다. 그나마 일본제품 불매운동으로 무역적자가 20%정도 줄어든 것에 불과하다.

강제징병이란 국가의 권력으로 강제적으로 병역 의무를 지우는 제도이다. 일제는 전쟁에 참여시키기 위하여 강제징병을 하였다. 나이가 적거나 하여 전쟁수행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들은 강제징용을 하여 군수공장 등에서 전쟁과 관련된 일을 시켰다. 위안부도 마찬가지이다. 근로정신대란 이름으로 군수 공장과 방직 공장 등에서 노동력을 제공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여성을 모집하여 징용을 하였다. 그러나 위안부를 하게 하였다. 이중 탈출한 여성들이 돌아와서 거짓임이 퍼지게 되었다. 당연히 지원자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때부터 강제로 납치를 하여 위안부를 하게 하였다. 이들은 일제가 강제로 위안부를 하게 한 위안부 피해자이다. 일본의 징용 등으로 자의반 타의반 일본에 남아 살고 있는 동포들이 많다. 일본에는 1억 2천만명중 한국인이 0.5%나 거주한다. 중국인 0.4%보다 많은 2위가 한국인이다.

일본은 우리가 6.25전쟁 이후 경제적으로 어렵고 힘들었던 시절, 식민지배가 합법이었다는 강대국 논리를 인용하여 어린아이 손목을 비틀 듯이 사탕발림으로 합의한 한일협정청구권으로 모든 것이 끝났다. 그러니 자국민에 대한 권리는 우리나라 정부가 책임지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같은 전범국인 독일과 비교해 볼 때 동맹국인 우리나라에 대한 예우가 아니다. 강제징용피해자는 일본을 상대로 한 것이 아니다. 강제징병은 대한민국이 보상한다고 하더라도 일본전쟁군수기업으로부터 강제징용의 중노동 등 잘못된 행위로부터 부당하게 피해를 당했기 때문에 일본기업이 배상을 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일본과 같은 전쟁범죄국가인 독일은 힘이 있든 없든 모든 주변국가에 책임 있는 정치인들이 기념일마다 또는 일이 생길 때마다 반성하고 사죄를 하였다. 지금도 하고 있다. 독일은 2000년부터 국가 간 보상과는 별도로 주변국 강제징용 피해 170만 명에게 배상하기 위하여 독일기업들과 함께 8조원을 출연해 재단을 만들어 배상하고 있다. 일본은 이러한 사실을 본받아 전쟁기업들과 함께 아시아권의 강제징용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아직도 친일파들의 논리에 정신을 잃고 갈 길을 잊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순수하게 시작한 불매운동도 더욱 확산되어야 한다. 일본에게 피해를 본 대다수의 아시아권 국가의 국민들과 공동하여 불매운동이 아시아권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조금 잘산다고 힘이 있다고 엄청난 잘못을 저지르고도 제대로 된 반성과 사과, 배상이 없는 일본과 일본기업이 살아 갈 수 없도록 피해국가와 연대하여 불매운동을 하여야 한다. 일본은 원래 자신들의 제품이 우수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한국의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확실한 국가관을 가지고 불매운동을 하여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