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아침에] 박기태 건양대학교 교수

임인년 새해 달력의 첫 장이 돌아올 수 없는 작별을 고했다. 각자 나름의 희망을 꿈꾸며 새해에 계획했던 일들이 차근차근하게 잘 되어 가는지 궁금하다. 어떤 이는 지금까지 만족스럽게 생각될 만큼 계획을 잘 이행하고 있겠지만, 어떤 이는 벌써부터 삐거덕 징조를 나타내며 좌절에 문턱 앞에 그 모양새를 보일 수도 있다.

살면서 우리는 자기 뜻대로 안 되는 일과 마주칠 때, 어떤 일을 하다가 힘들고 지칠 때, 그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또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하여 해답을 갈구하면서 깊은 시름에 빠질 수 있다. 때론 쉽게 포기하고 다른 길을 모색하려고 하거나 당당하게 맞서서 고난을 넘어서려고 평소 자신의 태도를 재근하며 다시 한 번 되돌아보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제 1·2차 세계대전과 스페인 내전을 몸소 겪었으며 '잃어버린 세대(Lost Generation)'의 대표적인 작가로 알려진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의 후기 대표작이자 1954년 노벨문학상 수상작인 ‘노인과 바다’라는 한편의 소설을 통해 생각해 보려한다.

이 소설은 바다 한 가운데에서 외로움과 절대 고독에 맞서서 희망을 잃지 않는 가난한 어부 산티아고 노인의 삶을 그린 작품이다. 이웃의 소년 마놀린과 함께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지만 84일 동안 고기를 한 마리도 낚지 못한다. 그러자 부모의 권유로 소년은 다른 배의 조수로 보내지고 산티아고 노인은 고기를 잡기위해 홀로 먼 바다까지 나갔다. 때마침 그의 낚시에 거대한 청새치 한 마리가 걸려들었고 그것을 끌어올리기 위해 사흘간의 사투 끝에 드디어 노인은 배 옆구리에 그것을 매달고 귀항에 오른다. 그때 청새치가 몸부림치면서 흘린 피 냄새 때문에 상어 떼가 따라온다. 이를 물리치기 위해 노인은 다시 한 번 목숨을 건 싸움을 벌인다. 그러나 노인은 상어들의 절대적인 힘에 원망을 하기보다는 그들의 힘에 당당하게 맞서 겨룬다. 마침내 노인이 가까스로 항구에 닿았을 때 그가 잡은 청새치는 뼈만 앙상하게 남았다. 노인은 지친 몸을 이끌고 자신의 오두막에 도착해서 깊은 잠에 빠졌고, 상처뿐인 노인의 모습을 바라본 마놀린은 눈물을 흘린다.

이 소설은 황폐해지고 볼모지 같은 현실 속에서 올바른 삶의 방향에 대해 암시하고 있다. 패배를 모르는 한 노인의 삶을 통해서 “인간은 패배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다. 인간은 파괴될 수는 있지만 절대 패배하지는 않는다”라는 그의 독백처럼 용기와 자기극복으로 과감하게 고난과 대결할 때 인간의 존엄성이 있다는 실존철학이 담겨져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인간 영혼의 힘과 의지 그리고 역경을 이겨내는 투지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죽지 않고 지속된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음이 틀림없다.

소설이라기보다는 차라리 한 편의 장엄한 서사시 같은 이 작품에서 산티아고 노인은 “희망을 갖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다. 희망을 버리는 것은 죄악이다.”라는 말로 고난과 좌절의 상념을 떨치고 침착성과 불굴의 용기로 진정한 삶을 배우도록 우리에게 메시지를 전달해 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의 질문에 대한 해답은 아마도 고난 속에서도 끈기 있는 인내심과 용기로 자기 자신이 계획한 목표를 위해 모든 능력과 재능을 발휘하고 포기하지 않는 근성이라고 단호히 말하고 싶다. 그런고로 우리의 삶이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러울지라도 당당히 맞선다면 반드시 고난을 극복하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 ‘노인과 바다’의 산티아고 노인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참다운 교훈을 보여 주는 것 같아서, 삶의 용기를 주는 것 같아서......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