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산책] 김법혜 스님·민족통일불교중앙협의회 의장

청와대의 역사는 1382년 9월 고려 우왕이 지금의 서울인 남경으로 천도하며 지금의 자리에 궁궐을 지으면서 시작됐다. 뒤로는 북한산을 두고 남으로는 한강을 바라보는 전형적인 ‘남면’의 자리다. 조선 때엔 연무 등이 이뤄지며 경무대로 불리기도 했다.

경복궁은 이보다 조금 남쪽에 있다. 일제는 1936년 이곳에 총독부 관저를 지었다. 이후 미군정사령관 관저를 거쳐 대통령 관저로 이어졌다. 청와대의 역사는 서울인 남경으로 천도하며 지금의 자리에 궁궐을 지으면서 시작된다.

4·19 이후 청와대로 이름이 바뀌고 정권을 거치며 증·개축이 이뤄졌다. ‘청기와’는 청자 기법을 활용해 만든 기와다. 한국과 중국에만 있는 최첨단 최고급 건축재이다. 경복궁이 처음 만들어질 때도 주요 전각에 청기와를 사용했다.

현재 남은 청기와 전각도 창덕궁 편전(왕의 집무실)인 선정전이다. 청기와가 최고 권력의 상징이었던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집무실이 들어설 국방부 청사는 조선 때엔 둔 지방에 속했다. 당시 용산 방은 지금의 마포 쪽에 있었다.

군사들이 주둔하며 농사를 짓는 땅을 둔전이라고 했다. 왕실 기와와 벽돌을 만들던 곳과 얼음을 저장하는 창고도 있었다. 백제 이후 조선까지 중요한 병참기지였고 구한말 청군과 일본군이 군사기지로 잇따라 사용됐다.

일제의 조선(주둔)군사령부가 위치했고 이후 지금의 미군사령부가 들어섰다. 세종 때 다시 경복궁으로 돌아왔지만, 임진왜란 이후에는 창덕궁이 정궁이 됐다. 고종은 경복궁을 중건하지만, 아관파천 이후 덕수궁을 사용하고 순종은 다시 창덕궁으로 이어 한다.

‘이어’의 시기는 주요한 역사적 고비와 일치한다. 대한민국도 수도 이전은 여러 차례 시도되고 일부 실현됐다. 1971년 대통령 선거 때 김대중 후보가 행정수도 대전 이전을 공략했고 박정희 정부 말기에는 충남 연기에 임시 행정수도 건설계획이 세웠다.

5공화국 때는 과천 제2청사로 국가기관의 탈서울이 시작됐고 노무현 정부 때 행정수도 이전으로 국가 기능의 지방 분산이 가속되기도 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통째로 옮기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식 건물인 국방부 청사에 기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1000년 역사가 이제는 ‘청와’가 최고 권력의 상징이 되기는 어렵게 됐다. 김영삼·김대중 대통령은 일본군 고위 장성에 주로 쓰였던 ‘각하’ 호칭도 그때부터 없앴다. 대통령 호칭에 이어 이번엔 집무실의 이름도 바뀐다.

새 대통령 집무실 이름에는 국민에 좀 더 가까이 가려는 뜻이 잘 담겼으면 싶다. 새 정부 출범 후 용산 국방부 청사에 마련되는 대통령 집무실 명칭이 내달 국민 공모를 통해 결정될 것 같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인수위 측은 '용산'을 기정사실화하고 명칭 선정을 위한 실무 준비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도 "좋은 명칭이 있으면 알려달라. 국민 공모를 해서 정하겠다."라고 예고한 바 있다. 공모를 통해 시민 의견이 취합되고 심사 절차가 마무리되면, 1960년 12월부터 써온 '청와대'라는 명칭은 6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집무실 이름만 시민 아이디어로 바꾸는 게 아니다. "현재 '용산공원'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쓸 수도 있지만, 더 좋은 이름을 찾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어 결과적으로 세 곳을 한꺼번에 공모에 부치기로 가닥을 잡았다.

'청와대는 100%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라는 약속 이행을 위한 청와대 개방 실무 준비에도 한창이다. 주요시설 내부는 보안과 안전 관련 조치를 마치는 대로 순차 개방하기로 했다. 따라서 관저와 공관, 영빈관, 업무동 등은 물론 국가위기관리센터(지하벙커)까지도 국민이 보실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윤 대통령 당선인이 임기 초반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 머무르더라도 현재 청와대 시설은 일절 사용하지 않겠다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공원을 찾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 첫 마음처럼 윤석열 정부의 시대에는 궤변가들의 무책임한 시대는 가고, 반상회 날이면 빗자루를 들고 나오는 우리의 이웃들이 바로 주인공임을 알고, 나는 그들에게 새로운 꿈을 걸어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