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열며] 곽의영 전 충청대 교수

어느새 10월의 가을이다. 요란했던 여름의 빈자리에 가을이 들어와, 우리 마음까지 물들이고 있다. 너무나 기다려지던 계절, 또 한 번의 가을이다.

여름이 지나면서, 맑은 햇살에 청량(淸凉)한 바람이 일고 있다. 짙푸르던 나뭇잎도 서서히 붉어지고, 풀숲에 맺혀있는 이슬마다 파란 하늘이다.

이뿐이 아니다. 깊어가는 가을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들꽃에 숨기도 한다. 실로 가을의 기운에 흠뻑 취하고 싶어진다.

철학자 니체(Niche)는 ‘가을이 좋아 자신이 태어난 날도 가을로 옮겼다’고 한다.

아무튼 10월은 풍성한 감성(感性)이 일렁이는 계절이다.

이에 오늘도 빛나는 가을 길에 나선다.

지금 거닐고 있는 이 시간, 하늘은 높고 푸르며, 드넓은 산야(山野)가 펼쳐져 있다.

황금빛 들녘을 지나 숲길에 들어서니, 녹색이던 나무 색깔이 엷어지고 있다. 그러면서 나뭇잎들이 바람에 흔들리며 버석거린다. 마치 무언(無言)의 언어처럼 들린다.

저러다가 나무들은 색깔을 바꾸어, 단풍이 되고 낙엽이 되는 것이다.

단풍은 잎 속에 생리적 반응이 일어나, 녹색 잎이 적색, 황색,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는 혹독한 겨울 채비를 위해, 체내 수분을 줄여, 살아남으려는 치열한 나무들의 몸짓이다.

가만히 기울여 보면, 가을은 단풍처럼 아름다움을 터뜨린 후, 조락(凋落)으로 이어진다. 참으로 처연(凄然)한 아름다움이다.

그러기에 이런 가을의 정취(情趣)를 만끽하러, 들로 산으로 나서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저 보는 것에 그치기도 한다. 아니 이보다는 저렇게 침묵처럼 서있는 나무와 숲의 내밀(內密)한 언어도 들어야 한다.

세상에 저 낙엽처럼 영원한 것은 없다. 때가 되면 생명체는 소멸(消滅)한다.

가을 또한 어쩌다가 소리 없이 떠나간다. 유한한 우리 인간도 역시 나이 들어, 언젠가는 떠나야 한다. 따라서 이 세상 누구나 건강을 다스리며, 주어진 삶을 의미 있고 가치 있게 살아가려 한다.

모름지기 각자의 삶의 여정(旅程)은 스스로 만들어가는 구조물(構造物)이다.

무엇보다 우리의 삶이 보다 성숙하고 의미 있으려면, 너무 외부세계에 시선을 두지 말아야 한다. 나의 내면(內面)과 마주하는 시간도 가져야 한다. 너무 외적(外的)으로 치우치면, 정신적 가치가 매몰(埋沒)되기 쉬운 것이다.

이로 보아 주어진 현실이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잠시 멈추어 자신의 내면을 살펴야 한다.

무릇 10월의 가을을 바라보면, 우리 인생도 나뭇잎과 다르지 않다. 그토록 푸르던 나무도, 단풍을 지나 외로움으로 흔들리며 조락하고 만다. 바로 존재와 더불어 사라짐이다.

어느덧 올해도 많이 지나고 있다. 지난날을 되돌아보고 끝맺음을 준비할 시간이다. 살면서 멈추어 자신의 내면을, 성찰(省察)하고 사유(思惟)하는 시간은 결코 무위(無爲)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삶의 기둥을 단단히 만들어, 보다 밀도(密度)있게 사는 길이다.

이를 두고 현자(賢者)들은 ‘물질과 더불어 정신적 가치를 소중이 여기라’ 말한다.

오늘도 순수의 마음으로, 가을의 품에 안겨 보았다. 여기저기서 고요한 나무와 숲 그리고 단풍과 낙엽에서 들리는 침묵의 소리도 들었다. 왠지 옛 시절이 새록새록 돋아나고 누군가 그리워진다. 그래서인지 10월이 오면 ‘가을앓이’를 한다.

사무치게 그리운 이 시간이다. 차라리 따스한 차를 마시며 우리 가곡 ‘가을앓이’를 들어 보련다.

“가을이 깊어가네/ 이 계절 어찌 지내시는가/ 하늘은 높아도 비어있고/ 바람은 냉기에 떨고 있네/ 이 가을 깊은 서정에 가슴 베이지 않을 지혜를 알려주시게…”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