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한국경비협회 중앙회장

코로나19는 마스크 착용을 필수로 만들었다. 또 코로나 예방을 위해 손을 더 자주 씻고 소독제를 사용한다. 코로나19 이후 감기 등 호흡기 질환자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K방역은 세계의 표준이 되었다. 좋아진 방역시스템은 세균 등으로부터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게 했다.

모기는 따뜻한 곳을 찾아 실내로 들어온다. 갑자기 추워지는 계절이 되면 모기는 따뜻한 서식지를 찾아 이동한다. 공장 등 건축물 온열시스템의 발달로 인해 모기의 서식지와 활동기간의 범위가 늘어나고 있다. 따뜻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곳이라면 겨울에도 모기가 서식한다. 따뜻했다가 추워지면 실외의 모기들이 실내로 이동하는 전이 현상이 발생한다.

우리와 일상생활을 가장 많이 하는 해충으로는 낮에는 파리, 밤에는 모기이다. 경비근무교대를 하듯 어둠이 깔리기 시작하면 바로 모기들이 덤벼든다. 파리는 신속하고 이곳저곳에 옮겨 다닌다. 모기가 파리보다는 순발력이 떨어지는 것뿐이지 조용히 다가가서 소리 없이 공격하여 더 큰 피해를 준다.

이들은 모두 전염병을 매개하는 위험한 해충으로 코로나 예방을 위해서라도 퇴치에 신경을 써야 한다. 이들은 인간 생활에 전혀 도움이란 없다. 초파리도 오래된 음식물 주변에서 서식하면서 괴롭히며 일조한다. 문제는 모기이다. 모기는 습한 환경과 더운 환경에서 번식하고 활동한다.

모기는 물리게 되면 인식하지 못하다가 물리고 나면 알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여름철을 가리지 않는다. 모기에게 노출되는 기간만큼 전염의 확률도 높아질 수 있다. 일본 뇌염은 초기에 두통, 발열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심하면 중추신경계 감염으로 이어져 정신질환, 마비, 경련 등을 겪다가 사망까지 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일본뇌염은 치료제도 없기 때문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뇌염은 모기 발생 2주전에 백신을 맞으면 예방할 수 있다.

흰줄 숲 모기는 뎅기바이러스를 전염시킨다. 우리가 흔히 아는 전투모기라 불린다. 뎅기열은 대표적인 열대병이다. 위생상태가 좋은 나라에서도 종종 나타날 정도로 활동 범위가 넓고 유행성이 강하다. 모기 암컷의 대부분은 빨대 모양의 주둥이로 피부를 뚫고 피를 먹는 체외 기생충이다. 암컷의 흡혈 습성을 가진 모기는 일본뇌염, 뎅기열, 말라리아, 지카바이러스 등의 전염병을 매개하는 위험한 해충이다.

이러한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 확실한 예방법이다. 모기가 실내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설치하고, 모기퇴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외출할 때는 얇은 긴소매 옷과 긴 바지, 모자를 착용하고, 모기를 유인하는 검은색 옷 역시 피하는 것이 좋다. 노출된 피부에는 모기 기피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또, 모기는 땀 냄새에 강하게 반응하므로 잘 씻어야 한다.

모기에 물렸을 경우 염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히스타민제와 염증을 줄이는 소염제가 첨가되어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 가려움 등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모기가 서식하고 알이 부화되지 못하여야 한다. 하수구 정화조 등 모기가 살지 못하도록 주변 환경의 방역을 촘촘히 하는 조치도 필요하다. 특히 목욕탕, 난방시설, 기계실 등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주는 온열시스템 주변에 모기가 살지 못하도록 하는 환경정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