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전이야기] 동중영 정치학박사· 한국경비협회 중앙회장

보이스피싱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이미 국제적 골칫거리로 떠오른 지 오래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2'를 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7,744억원에 이른다. 1건당 피해액은 2,500만원 수준이다. 보이스피싱은 피해자에게 재산상 피해와 더불어 마음에 큰 상처를 남긴다. 심한 경우 우울증 등 정신질환으로 이어진다. 심지어 무엇보다 소중한 생명을 포기하는 사례도 나온다.

과거에는 보이스피싱이 사회적 약자나 어리숙한 사람을 노렸다. 현재는 범죄 수법 진화와 개인정보 유출로 의료인, 교수, 법조인, 기업인 등 피해대상도 고학력 사회 저명인사로 넓혀졌다. 이제 누구나 보이스피싱 올가미에 걸릴 수 있다. 보이스피싱은 신뢰가 중요한 정보통신 사회를 불신하게 만든다. 심각한 사회문제다.

학교등록금납부, 설명절, 연말정산 등 큰돈이 오가는 이맘때쯤 카카오톡 문자를 이용한 통신금융 사기 피해가 극성을 부린다. 악성 앱 걱정에 문자를 확인하기 두려울 정도다. 다가오는 설 명절에도 기쁜 마음에 확인한 택배 문자 하나로 큰일을 겪을 수 있다. 선물 택배 위치 확인을 가장한 문자나 카카오톡에 인터넷 주소가 있는 경우 각별히 살펴봐야 한다. 결제문자, 택배문자, 상품권 당첨문자 등을 확인할 때는 해킹앱이 설치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기업인은 정부지원금 및 대출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에 주의한다.

이외에도 보이스피싱 유형은 다양하다. 상상하지 못할 범죄유형으로 피해자를 노린다. 발신 번호를 속이는 수법은 기본이다. 범죄대상자의 약점을 이용해 계좌이체를 유도하는 전통적 보이스피싱은 지금도 많은 피해자를 만든다. 보통 대출금이 잘못 입금됐다고 속인 뒤 재입금을 유도한다.

요즘 보이스피싱 범죄자는 검찰청, 금감원, 경찰 등 공권력의 권위를 이용해 피해자를 안심시킨다. 피해자가 범죄에 연관됐다고 속인 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계좌와 스마트폰에 팀뷰어 등 악성 원격 제어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이제 보이스피싱 범죄도 메신저피싱, 기관사칭, 악성앱 설치 등 융합·발전했다.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016년 1,468억원 △2017년 2,470억원 △2018년 4,040억원 △2019년 6,398억원 △2020년 7,000억원 등 매년 증가하는 중이다.

보이스피싱은 대부분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정보를 알고 있으면 일을 성사시키기 쉽다. 스미싱은 스마트폰 문자메시지와 인터넷 이메일 등으로 알아낸 정보를 활용한다. 보이스피싱은 스미싱을 통해 알아낸 정보를 이용한다. 정확한 정보를 통해 스마트폰에 악성 앱을 설치한 뒤 피해자를 통제한다. 정확한 피해자 정보는 보이스피싱 범죄 성공률을 높인다.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하려면 기본을 지키고, 상식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 금융기관, 수사기관을 비롯한 공공기관은 이미 구체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기에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 개인정보 유출 차단은 보이스피싱 예방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더불어 정보를 요구하거나 사칭하는 전화는 일단 끊어야 한다. 사실 확인 후 진행해도 절대로 늦지 않다.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는 조상의 지혜를 잊지 말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