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김상규 충북과학기술혁신원 원장 

2007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가 발생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달러를 마구 찍어내었다. 이에 달러 신뢰도가 급락하면서 중앙집권적인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고 중앙은행을 거치지 않고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온라인 투표시스템(과기부), 전력거래(한전), 모바일운전면허증(행안부), 복무증명서(병무청), B-Pass(부산, 모바일신원증명서비스), 다대구(대구, 모바일신원증명서비스) 등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블록이고, 이 연결이 체인을 의미한다. 쉽게 얘기하자면, 특정 데이터를 사각형 블록에 분산하여 여러 곳에 저장하고, 분산된 블록을 연결시킨 것이다.

블록체인과 관련하여 함께 언급되는 것이 'Why blockchain?' 굳이 블록체인이 아니더라도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은 응용서비스에서 필수항목이 아니라 선택항목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블록체인의 기술적 성격상 분산하여 저장한 데이터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라는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기에 전자화폐, 개인정보, 이력관리 등 식별가능한 정보나 변경 불가가 필요한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블록체인 기술 진입이 타 선진국에 비하여 늦은 편이지만,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앞다투어 육성시키고자 하고 있다. 정부는 18년도와 20년도에 각각 블록체인 산업 발전 전략, 블록체인 산업 확산 전략을 수립하고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부산은 윤석열 정부의 지역공약으로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 대구는 시비 75억을 투입하여 육성 중이며, 인천은 시장 공약으로 5년간 133억을 투입하여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우리 충청북도 역시 2018년에 충북과학기술혁신원에 블록체인진흥센터를 설치 및 개소하고 2023년 현재까지 24억원을 투입하여 블록체인 산업을 육성 중에 있다.

블록체인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반 응용서비스를 공급하려는 기업과 그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수요기업이나 수요자가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블록체인 관련 산학연관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아이템도 도출하고, 사업화 방향 모색, 기술 세미나 등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공급기업이 블록체인 기반 응용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인프라(개발환경, 테스트베드)가 필요하다.

게다가 블록체인 인력도 체계적으로 육성되어야 한다. 개발인력이 양성되어야 블록체인 공급기업이 창업될 것이고, 기 SW 개발기업이 블록체인 영역까지 확대하여 사업화가 가능하게 된다.

개발된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한 실증 가능한 환경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규제샌드박스나 규제특구를 통해 개인정보, 스마트 거래환경 등에 대한 규제완화 및 제도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듯 생태계가 조성되면,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활성화된 이후는 자생적 성장 체계로 접어들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이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웹3.0시대가 되면 공급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될 전망이다. 이러한 시대에 발맞추고 미래전략 산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리 충청북도가 블록체인 산업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육성하여야  하며 충북과학기술혁신원이 그 중심에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