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칼럼] 장래혁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뇌교육학과 교수·브레인 편집장

최근 미디어에서 ‘도파민 디톡스’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현대 사회를 ‘도파민 사회’ 라고도 부르고, 그만큼 ‘도파민 중독’을 초래하기 쉬운 환경의 결과로 해석하기도 한다. 도파민은 세로토닌과 함께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대표급 신경전달물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파민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나를 이해하는, 뇌를 이해하는 하나의 통로 역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파민은 흔히 알고 있는 ‘보상시스템’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실제로 보상이 주어졌을 때 도파민의 분비는 더욱 강화된다. 문제는 노력을 기울인다고 항상 목표가 달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어나는 간극이다. 도파민 분비에 따라서 나의 기분도 널뛰기를 하게 되는 ‘도파민 감수성’ 이다.

도파민이 결핍되거나 우리의 뇌가 도파민에 내성이 생기면 무엇을 해도 금방 질리고 쉽게 귀찮아지며, 쉽게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도파민이 적게 분비됐을 때 발생하는 대표적 질환은 우울증이다. 무기력증을 호소하기도 하고, ADHD로 진단받을 수 있다. 반면, 도파민 분비량이 과도해지면 조증(燥症)이 발생할 수 있다. 식욕 부진, 수면 장애, 강박증, 조현병 등 쓸데없는 일까지 과도하게 집착하게 된다.

노력과 성취에 따른 보상시스템에서부터 우울증과 중독에 이르기까지 일상에 깊숙이 관여하는 도파민에 지금 주목해야 하는 것은 지금 사회가 과거와는 또 다른 도파민 사회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침에 일어나서 스마트폰을 찾고, 끊임없이 SNS 활동을 탐닉하며, 사람 관계보다 디지털기기에 더 익숙해져 가는 ‘디지털 도파민’이라 불리는 이른바 ‘정보중독’에 취약한 사회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도파민이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수준을 베이스라인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도파민을 자극하는 대상을 구하기 힘들었지만 이제는 중독의 법칙이 바뀌었다.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아도 끊임없이 새로운 영상이 재생되는 숏폼 콘텐츠가 도파민 중독에 이르기 쉬운 대표적인 사례다.

뇌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해서, 출력하는 일종의 ‘정보처리기관’이다. 인간의 뇌의 구조와 기능은 크게 바뀌지 않았는데 뇌 바깥은 송두리째 바뀐 환경에 서 있는 셈이다. 평상시 뇌에 가장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고 있는 정보자극의 대상인 몸의 활동성은 현저하게 낮아졌고, 뇌 바깥은 24시간 밝히는 인공 빛의 세상으로 바뀌면서 생체시계 교란은 더욱 극심해졌다.

낮아진 신체 움직임은 동물(動物)로서 생명활동의 근간인 항상성(恒常性) 기능을 떨어뜨리고, 지속적이고도 자극적인 외부적 정보는 우리의 의식의 방향성을 외향적으로 돌리는 데 익숙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그 간극은 더욱 커져만 가고 있다. 기술의 진보가 도파민의 베이스라인을 더욱 흔들고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나의 도파민 베이스라인을 지켜내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98년 미래 건강의 새로운 키워드로 치료에서 예방, 관리에서 한발 더 나아가 ‘헬스프로모션(Health Promotion)’을 제시한 바 있다.

중독의 본질은 결국 뇌의 주인자리를 빼앗긴 것이다. 치료는 의사가 하지만, 치유는 스스로가 하는 것이다. 정보중독이 넘쳐나는 시대, 뇌의 주인이 되어야 하는 시대를 우리들은 맞이하고 있다.

‘지금 당신 뇌의 주인은 누구입니까?’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