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은 의료계에 큰 차질을 불러왔다. 집단 사직 사태가 벌써 한 달이 돼간다. 대학병원에서 수술과 항암치료가 미뤄지고 있고, 이젠 교수들도 단체로 흰 가운을 벗는다고 한다. ‘의료 대란이 그 임계치를 넘어 의료 재난으로 진행될까 우려스럽다.

전공의들의 의료현장 복귀 요청은 각계 각층에서 봇물과 같지만 상황의 진전은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싼 의료계와 정부의 이견 차가 너무나 큰 탓이다. 협상을 통해 개선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사정이 이러한데 상황은 설상가상이다.

충북대 의대 교수들이 집단행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 해결을 촉구하던 충북대 의대·병원 교수들이 지난 13일 긴급 임시총회를 갖고 집단행동 여부 등에 대한 내부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1시간 가량 진행된 이날 임시총회에서 교수 비대위는 집단사직 연대 등과 관련해 온라인으로 참석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 같은 교수들의 집단행동 움직임은 이미 전국적인 상황으로 진행됐었다.

집단행동의 명분은 제자들을 보호하겠다는 것이다. 의대 교수들의 사직 결의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전국 19개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2일 회의를 열어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15일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한 논의를 마치기로 했다고 전해진다.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가톨릭대, 제주대, 원광대, 인제대, 한림대, 아주대, 단국대, 경상대, 충북대, 한양대, 대구가톨릭대, 부산대, 충남대, 건국대, 강원대, 계명대 등이 이 범주에 속해 있다. 비대위에 참여하는 의대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의대 교수들이 사직 결의에 속도를 내는 건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복귀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대부분의 전공의는 공식적으로 지난 219일에 사직서를 제출한 뒤 20일 오전 6시를 기해 근무를 중단한 까닭에 곧 한 달이 된다. 근무 중단 한 달은 엄중한 의미를 가진다.

복지부는 애초에 사직서가 수리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못 박고 있고, 그래서 근무 중단 한 달이라는 시한을 특정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민법을 근거로 한 달이면 사직서 효력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고용기간의 약정이 없는 근로자의 경우 사직 의사를 밝힌 1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생긴다고 본다는 민법 660조가 그 근거다.

또 이달 말이면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유급 처리된다.

그런 까닭에 불이익을 당할 전공의와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교수들이 나설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집단 사직의 명분이다.

방재승 전국의대교수 비대위원장은 “(사직 수리) 유예기간 동안 자원봉사 등을 통해 최대한 (현장에서) 버텨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의대 교수들이 제출한 사직서가 미수리되고, 이들이 의료 현장에 당분간 남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이지만, 전공의 이탈로 지칠 대로 지친 교수들이 어느 순간 현장을 떠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전공의가 없는 의료현장에 교수들의 집단행동 논의의 본격화는 환자들에게 불안과 시름만 크게 주고 있다. 현명한 타협점을 찾아야 하는 까닭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