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鄭東泳) 후보가 좀처럼 '뜨지 않는' 지지율로 한숨을 짓고 있다.

조사방법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정 후보의 지지율은 신당경선 이후 이주일째 15∼20%의 '박스권'에 갇혀있는 상태.

'컨벤션 효과'에 힘입어 경선후 일주일만에 20%대(23일 ytn 조사결과 20.4%)를 돌파했던 정 후보의 지지율이 '뒷심'을 발휘하지 못한 채 장기 정체 또는 약보합 국면을 보이고 있는 것.

문화일보가 30일 디오피니언에 의뢰한 조사에서 정 후보의 지지율은 18.1%, 조선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29일 실시한 조사에서는 17.1%에 그쳤다. 한겨레신문과리서치플러스의 27일 조사에서는 16.1%였다. 힘겹게 나마 20%를 턱걸이한 조사결과도 없지는 않다. kbs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25∼27일 실시한 조사에서 정 후보는20.2%, bbs 여론조사에서는 21.4%로 근소하게 20%를 넘겼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당초 이달말이면 20%대를 '안정적'으로 넘겨 30%를 향해 달릴 것이라던 낙관론은 쏙 들어가고 캠프 전체가 지지율 제고대책에 비상이 걸린 분위기다.

아직 출마선언 조차 하지 않은 이회창(李會昌) 전 한나라당 총재의 지지율이 일약 15% 안팎으로 올라선 점은 정 후보 캠프를 더욱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 문화일보여론조사에서 이 전총재의 지지율은 15.8%로, 17.5%를 기록한 정 후보의 '턱밑'까지치고 올라왔다. 이와 맞물려 정 후보에게 쏠렸던 시선은 이 전총재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흐름이다.

지지율 정체가 장기화되면서 '악순환의 고리'마저 형성되고 있는 분위기다. 당장 지지율이 오르지 않자 시급한 당면과제인 외부영입 작업이 꼬이고 있다는 얘기가나온다. 이와 관련, '빅카드'로 거론돼온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은 영입 제의를 일찌감치 고사했고 진대제 전 정통장관도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관측이다.

후보단일화 논의도 동력을 잃고 있다. 범여권 주자들의 지지율이 일제히 동반상승해 한나라당 이명박(李明博) 후보의 지지율을 능가하는 수준이 돼야 논의가 탄력을 받지만 상황이 그렇지 못한 탓이다. 정 후보의 잠재적 경쟁자중 한명인 문국현 후보도 지지율 10%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고 심지어 하락하는 조짐도 보인다.

문제는 지지율 정체의 정확한 원인과 해법이 명료하게 '잡히지' 않는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후보 개인의 경쟁력이 아니라 범여권 진영 자체에 대한 국민적 불신과 외면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캠프 내에서는 이른바 '노무현 바이러스' 를 거론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 측근은 "노 대통령과 같은 묶음으로 낙인 찍혀있다 보니 지지율에 한계가 나타난다"며"그렇다고 노 대통령과 싸우자니 한쪽 표가 이탈할 수 있어 그야말로 딜레마"라고 말했다.

물론 나름대로 정책 차별화를 통해 비노(非盧)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일반여론은 정 후보와 노무현 정권을 여전히 동일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0년간 이어져 온범여권 정권에 대한 '피로감'과 정권교체에 대한 바람도 크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정 후보가 범여권 후보단일화에 적극적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는 점이 전통적 지지층을 하나로 끌어안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지 않느냐는 시각도 나온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정 후보의 착점이 주목된다. 지금의 지지율이 내주까지 이어진다면 정 후보로서는 비상한 상황인식 속에서 특단의 대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캠프 내에서는 이회창 후보의 출마 등 외생적 변수에 일정한 기대도 걸고 있지만 일단 '자력(自力)으로' 25∼30%로 지지율을 끌어올려 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맥락에서 정 후보측은 이 후보와의 대립각을 보다 선명히 하면서 노무현 정부와도 차별화되는 정책소재를 발굴하는데 주력하는 한편, 후보단일화 논의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점쳐진다.

특히 정 후보가 민주당과 우선적으로 단일화 협상을 진행하며 세력간 통합 또는권력분점을 전제로 한 연정 논의에 시동을 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편 신당은 전국 243개 지역 선대위원장 인선문제를 놓고 열린우리당, 민주당,시민사회 출신 세력간 안배와 내년 총선공천 문제에 발이 묶여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신당은 내부갈등 최소화를 위해 시.도당 지역 선대위원장을 3인 이상 구성하는 '공동 지역선대위원장' 체제를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