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식약청 등의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버섯은 약 1600가지의 버섯이 있다. 이 가운데 70%는 식용할 수 없는 버섯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부분의 버섯은 식용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전문가가 아니면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구분하는 일은 쉽지 않다. 대개 좀우단버섯, 파리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노랑사리버섯 등 독버섯은 통상 갓 주름 부분이 백색을 띄고 대(줄기) 부분은 표고버섯보다 가는 편이고 갓 부분이 잘 떨어진다. 그러나 독버섯이 다그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도 독버섯인지 식용버섯인지 구분하기 어렵기에 일반인들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버섯을 판매하는 사람들도 독버섯이 섞여 있는 줄 모르고 판매할 정도로 버섯의 감별은어렵다. 독버섯은 원색적으로 화려하고, 벌레나 곤충의 피해가 없고, 은(銀) 성분을 검게 변화하게 하고, 버섯의 대공이 세로로 찢어지고, 소금물에 절이거나 끓이면 독이 없어진다는 것도 부분적으로는 잘못된 상식이다.

버섯은 종류에 따라 다른 성분의 독소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먹다 남은 버섯을 수거해 가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버섯마다 다른 독소물질은 민간요법이나 개인적인 생각에 의한 치료방법은 신체에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에 의한 응급조치 후 의사의 진료에 의한 처방이 바람직하다.

또한 독버섯은 섭취한 후 대개 30분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나타나지만, 섭취 후 10시간 정도 지난 후 증상이 나타나는 종류가 있으므로 독버섯에 의한 증상인지를 판단하지 못하고 배탈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독성분 함유여부가 확인되지 아니한 버섯의 종류는 안전차원에서 섭취하지 아니한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동중영 정치학박사, 사단법인 경호원 총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