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대선에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단일화에 성공할 것인가가 최대 관심이다. 야권 단일화가 성사되지 않는다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어떤 방법이든 후보 단일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지금의 추세를 보면 단일화가 그렇게 생각처럼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문 후보와 안 후보는 정당 후보론에서 맞서고 있다. 문 후보는 "정당의 조직과 국정운영 경험이 결합된 후보가 대선에 경쟁력이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바꿔 해석하면 안 후보에 비해서는 자신이 경쟁력이 있다는 말이다.

이에 안 후보는 "지금 와서 정당 후보론을 꺼내는게 참 어처구니없다는 생각이 든다"며 "그런 논리라면 항상 다수당이 대통령이 돼야 한다. 국민들이 대통령이 다수당이 되도록 힘을 모아줬는데 압도적 다수당이 되니까 어떤 일이 벌어졌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또 "정치가 믿을 만하구나, 참 달라졌구나 한다면 제가 가만히 있어도 국민들이 뭐하냐, 빨리 당에 들어가라, 어떻게든 단일화하라고 하지 않겠느냐"고 강조하기도 했다. 안 후보는 민주당이 정당의 낡은 정치시스템을 개혁하는 모습을 보여야 단일화에 나설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안 후보의 정당 후보론 비판을 듣고 문 후보는 "아유 정말, 그렇게 험한 말을"이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비교적 부드러운 말로 설득해오던 안 후보가 "어처구니가 없다"고 표현하자 문 후보로써는 기분이 나빴을 것이다.

두 후보의 정당 후보론 공방은 이쯤에서 마무리 됐지만 이번에는 책임 총리제가 등장했다. 책임 총리제는 문 후보 측에서 먼저 나왔다. 문 후보는 지난달 16일 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면서 대통령의 권한을 국무총리에게 대폭 넘기는 '책임 총리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통령에게 집중된 권력을 분산하고 총리에게 내치를 맡긴다는 것이다.

안 후보는 지난 7일 정책비전을 발표하면서 "3권 분립의 정신에 입각한 국정운영으로 제왕적 대통령의 폐해를 없애겠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책임 총리제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하게된 것이다. 그러나 수평적 리더십을 강조한 것이지 문 후보의 책임 총리제와는 거리가 있다는 주장이다.

안 후보 측은 대통령과 총리가 외치와 내치를 맡는 책임 총리제를 추진한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강력 부인했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대통령과 총리가 부처를 나눠 역할을 분담하는 것은 현행법에 맞지 않다"며 "개헌도 검토한 적이 없다"고 못 박았다. 대통령과 총리가 내치, 외치를 맡으려면 개헌이 필요한데 이에대한 검토가 없었다는 것이다. 결국 현재의 대통령제를 유지하며 운영 방식을 바꿔간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문 후보의 책임 총리제와는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항간에서 문 후보의 주장과 안 후보의 주장에 일치하는 점이 있어 단일화 과정에서 권력을 나눠 맡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했는데 이를 안 후보 측이 부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책임 총리제가 완전히 수면 아래로 잠복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안 후보의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없애겠다는 주장에는 책임 총리제 도입의 가능성도 다소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단일화가 어떤 방법으로 진척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협상에 의해 이뤄진다면 한 사람이 대통령 후보를 맡고 다른 한 사람이 책임총리를 맡는 방법으로 협상할 수도 있을 것이다. DJP연합 당시 이같은 형태로 진행될 전례도 있다. 과연 문 후보와 안 후보가 어떻게 단일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조무주 논설실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