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환 충북도의회 부의장의 '경제자유구역청과 잿밥'이라는 기고문을 읽고, 먼저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이 왜 충주에 설치돼야 하는 지부터 알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달 충북발전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청주권에는 충북도내 전체 인구의 48.4%, 사업장의 46%, 고용의 51%가 집중돼 있고, 오송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 입주와 세종시 배후도시 건설로 집중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연구원은 청주권과 여타 지역간 불균형이 충북 경쟁력 저하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또 기존 6개 경자구역청 주사무소는 입주 외국기업에 각종 행정불편을 야기함에 따라 대부분 시·도청 소재지보다 개발지역이 가장 많이 포함된 곳에 세워졌다.

실례로 전북은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전주에서 군산으로 경자구역청을 이전했으며, 황해(충남)지역 또한 당진에 설치했다.

이번에 충북과 함께 지정된 강원은 사업수요가 가장 많은 동해에 설치할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충북경자구역 성공을 위해서는 구역청을 도청내 부속기관이 아닌 독립기관으로서 개발지구에 설치해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신속하고도 효율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설치 위치는 개발수요와 잠재적 성장 가능성, 중앙정부와 행정의 독립성 등을 고려해 결정돼야 마땅하다.

이미 세종시와 오송역 개발이 진행 중인 오송바이오밸리와 달리 충주에코폴리스는 개발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개발과 외자 유치에 따른 민원수요가 상대적으로 빈번할 전망이다.

이런 면에서 충주에코폴리스에 경자구역청이 입주하면 소외된 북부권 발전을 기대할 수 있고, 이는 도내 균형발전의 초석이 될 수 있다고 본다.아울러 구역청 인력의 전문성과 자율성 확보는 필수다.

기존 경자구역은 관행적으로 전문성이 떨어지는 공무원 위주로 편성하는 우를 범해 외자유치에 실패했다.

충북도는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최근 정부 부처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구역청장 등 직원 30% 이상을 외자유치 업무에 탁월한 외부인사를 채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충북 또한 전문적 인사로 포진하는 것만이 경자구역의 성공을 담보하는 지름길이라고 본다. 충북경자구역청 충주유치 추진위는 경자구역 개발 성공이 최종 목표이며, 도의 경자구역청 설치 고유권한을 최대한 존중한다. 추진위는 일부 시민사회단체가 아닌 바르게살기, 새마을협의회, 여성단체협의회, 상공회의소, 라이온스, 로타리, 청년회의소 등 충주를 대표하는 100여 개 사회단체가 참여했고, 지역 윤성옥·심기보 도의원과 양승모 시의장 등 시의원 전원, 관련 분야 전문가 등 140명의 추진위원으로 구성됐다.

우리는 구역청에 배치되는 인사권에는 관심없다.

단지 충북도내 균형발전과 경자구역의 개발수요, 원활한 행정민원서비스 등을 감안해 충주에코폴리스 내에 구역청이 설치돼야 한다는 당위성을 157만 도민들에게 알리고자 할 뿐이다.


/김무식 충북경자구역청 충주유치추진위원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