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상으로 입춘이었던 2월 4일, 우리 충북에 '경제자유구역지정'이라는 따뜻한 봄소식이 전해졌다. '입춘대길(立春大吉)'은 바로 이런 것을 두고 만든 사자성어가 아닐까 의심이 될 정도였다.

지금은 160만 충북도민과 충북도의 공무원이 한 마음으로 이루어낸 장대한 오케스트라의 협연을 감상하며 축제를 즐길 때이지만 잠시 한 템포를 늦추니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 생각이 뇌리를 스친다.

이번에 지정된 충북경제자유구역은 청원군과 충주시 일원에 바이오 메디컬지구(오송) 1.13㎢와 리서치&관광비즈니스지구(오송) 3.28㎢를 합친 바이오밸리 4.41㎢, 에어로폴리스(청주공항) 0.47㎢, 에코폴리스(충주) 4.20㎢ 등 3개 권역 4개 지구로 짜여졌다. 개발기간은 금년부터 2020년까지 8년간이며 사업비는 국비 2239억원, 지방비 785억원, 민자 1만6918억원 등 총 1조9942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우리 충북으로서는 민선5기 들어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정에 이은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아직 이른 감이 있지만 2만2000여 개의 일자리 창출과 총 생산유발효과 2조5000억원, 총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500억원, 소득유발효과 6000억원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전망되고 있다니 가히 충북의 100년 먹거리가 단번에 해결되는 느낌이다.

하지만 우리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축제는 즐기되 아직 축배를 들어서는 안 된다. 어찌 보면 지금부터가 더 험로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시작으로 부산·진해, 새만금·군산, 황해, 대구 등 전국에 6개의 경제자유구역이 운영되고 있지만 들려오는 뉴스는 그다지 좋지만은 않은 것 같다. 물론 외국기업을 유치할만한 획기적인 조세감면 등 여러 가지 법적 사항이 미비한 것도 사실이지만, 각 지자체들이 경제자유구역 지정에만 전력 투구하고 실질적인 운영에는 다소 등한시하여 성적표가 초라하다는 얘기도 있는 것을 보니 그리 녹록지만은 않은 것 같다.

내부 문제인 수질오염총량제와 오송바이오밸리 개발사업자 선정 등은 논외로 두더라도 당장 외국계 기업 유치와 병원, 학교 입주 등을 통한 외국인 정주환경 조성 등은 다른 경제자유구역들과 경쟁해야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지정된 다른 지역들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 충북만의 경제자유구역을 만들어야 한다. 공항과 고속철도 등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갖춘 뛰어난 물류시스템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산업용지, 세종시 이전에 따른 신수도권의 중심지라는 점은 외국인들에게도 매력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세부사업 추진 시 다른 경제자유구역과 중복되는 분야는 과감하게 정리, 그야말로 '친환경 BIT 융복합 비즈니스 허브'로 정립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제 충북경제자유구역의 닻은 올라 갔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순항을 위한 철저한 준비와 치밀한 전략이라는 돛이다.


/박재익 충북지식산업진흥원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