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스마트폰이 생활의 중요 기능으로 작용한지 오래다. 실제와 가짜의 구별이 어렵다. 인증번호 입력 절차 없이도 개인정보가 유출된다. 이러한 피해 사실 자체를 알기도 어렵다.PC·스마트폰 사용자 대상 범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가짜 사이트를 관련 금융사 홈페이지와 유사하게 만들어 놓고 이용자를 유도, 개인금융접속정보를 알아내 범죄에 이용하는 '피싱(Phishing)'은 전화 이용 고객들이 유도 대상이다. 이는 금융정보를 낚아 올린다는 뜻으로, 개인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의 합성어다.

또 다른 방법인 '파밍(Pharming)'은 해커가 PC에 악성코드 등을 설치, 정상 주소를 입력해도 위조 사이트로 이동되도록 해 금융거래 정보 등을 빼내 금융범죄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표적인 소액결제 방법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다. 주로 무료쿠폰·상품권제공·스마트명세서 등의 메시지를 발송하고 이에 첨부된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는 순간 스마트폰에 악성코드가 설치되면서 소액결제에 필요한 정보가 사기범에게 전송돼 자신도 모르게 게임 아이템이나 사이버머니를 자동으로 구매하는 피해를 입는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PC·스마트폰 보안패치를 항상 최적으로 유지하고 백신의 실시간 감시 기능을 활성화해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점검·치료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최소한을 제외한 휴대전화 소액결제 차단이다. 또 환심을 사는 선물 제공 행위 등의 문자는 확인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동중영 사단법인 경호원 총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