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득수 서울취재본부장·국장 대우] 세월호 참사에서 드러난 정부의 무능과 부적절한 대응, 시스템의 부재, 관피아의 부정부패 등 매머드급 폭풍 속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는 현 정권의 무덤이 될 것이 거의 기정사실처럼 인식됐었다.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70%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가 20%p 이상 급전직하 했고, 지방 선거 이후 대통령은 국정의 추진동력을 잃고 표류하게 될 지도 모른다는 극단적인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야권은 표정관리를 해야 할 정도로 절호의 기회를 맞은 형국이었고, 여당의 참패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였다. 특히 후보자 등록 무렵에는 선거전체의 승패를 가를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곳과 대전·충남·북 등 충청권 3곳이 대부분 두 자릿수 이상으로 뒤지는 상황에서 선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게다가 비장의 카드로 내놓은 안대희 국무총리 지명자가 전관예우 의혹으로 집중 포화를 맞아 청문회 문턱을 넘어보지도 못하고 낙마하면서 상황은 더 악화됐다. 여당으로선 절망적인 상황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여당이 야당보다 하나 적지만 8개의 광역단체장을 가져올 수 있었던 건 놀라운 결과다. 특히 수도권 3곳 중에서 경기·인천 두 곳을 얻은 것은 박근혜 정부에게는 희망의 메시지로 받아들여진다. 야권은 서울 하나를 지켜내긴 했지만 인천을 빼앗겨 빛을 잃었다. 역대 대선에서 캐스팅보트를 행사했던 충청권 3곳은 야당이 가져갔다. 세종시까지 포함하면 4곳이다. 박근혜 정부로서는 뼈아픈 결과다. 기존의 새누리당이 차지했던 대전까지 빼앗기면서 완패했다. 더구나 충청권은 18대 대선에서 박 대통령 당선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던 곳이기에 더 아프다.
이번 선거는 충청권에 대해 현 정부가 좀 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다. 정부요직 인선과 지역개발 측면에서 충청권을 토사구팽 식으로 대한 건 아닌지 다시 한 번 겸허히 반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다만 여당으로서는 당초 3곳 모두 여론조사에서 10∼20%대로 뒤졌는데 개표결과 2.1~8.2%대로 줄어들었다는데 그나마 위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15.6%p 차이가 난 세종시는 관피아 혁파의 대상인 공무원이 많이 살고 있어 반발표가 나온 것은 당연하다.
충청권 민심이 선거 후반에 호전돼 접전을 펼칠 수 있었던 데엔 선거일 며칠 전 국방부 장관을 충북 출신인 한민구 전 합참의장을 지명한 것도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만일 선거일 전에 심대평·이원종 전 지사 등 충청 출신을 국무총리에 지명했더라면 3곳을 석권했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도 청와대 주변에서 나온다.
지방선거는 중간평가 성격이 강하고 집권여당을 견제하는 심리가 작용해 (IMF환란을 가져온 한나라당을 심판한 3회 지방선거를 빼고는) 줄곧 여당이 참패하는 패턴을 보여 왔는데, 이번엔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