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당선인은 미국, 중국, 일본 및 러시아에 특사를 보내 친서를 전달했다. 새 정부의 외교 무대에 앞서 리허설을 치른 셈이다. 이 당선인은 대통령에 취임한 뒤 이들 국가를 방문해 본격적인 외교 활동을 벌일 것이다. 이들 국가는 북핵 사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의 참가국들로 우리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특사단에 대해 미국과 일본이 특히 환영하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직접 특사를 맞은 것은 새 정부에 호감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5년 전만 하더라도 '반미면 어떠냐'는 노무현 당선인의 특사를 외면한 전례가 있다. 미국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 당선인의 특사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하니 미국의 기대가 새삼 느껴진다. 일본도 후쿠다 야스오 총리가 "왠지 한·일 관계가 좋았던 시절이 올 것 같다"며 환대했고, 중국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특사단장을 맡은 점을 높게 평가하며 전면적 동반자 관계 강화라는 새로운 관계 설정 지표를 제시했다. 러시아와는 남·북한이 함께 참여해 극동지역을 개발하는것을 골자로 하는 동북아경제협력체 구상 방안을 논의했다.

이명박 정부를 바라보는 각국의 시각에는 차이가 있고 복잡한 손익 계산도 없지 않을 것이다. 이 속에서 이 당선인이 정확한 방향타를 잡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아 보인다. 미국, 일본은 한·미·일 3각 동맹의 복원을 추진하려 할 것이고 우리도 이들과의 훼손된 관계를 마냥 방치할 수 없다. 아울러 중국, 러시아와 그동안 쌓은 우호 관계를 더욱 증진해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다. 중국은 전세계적으로 정칟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해가며 초 강국으로서 진로를 잡아가고 있는 데다 남·북한의 중재역을 맡고 있는 실질적인 세력 국가이다. 러시아는 미래의 개발 가치가 무궁무진한 막대한 잠재 시장으로 평가된다. 더욱이 우리로서는 북핵이라는 다루기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어느 한 나라도 가볍게 여길 일이 아니다. 그 가변성에 비춰 최악과 최선의 상황을 상정한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