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구성의 특징 중 하나가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를 합친 방송통신위원회의 출범이다. 케이블tv에서 보듯 방송망을 이용한 통신이 보편화되고 iptv 같은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도 궤도를 잡아가고 있다. 이른바 방송통신의 융합이다. 이미 경쟁 선진국은 이에 발맞춘 진용을 갖추고 미디어융합시대 선점을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거니와 우리도 때늦은 감은 있지만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맞는 정책을 내기 위해 지난달 29일 방통위가 구성된 것은 다행이다.

그러나 위원장 후보를 둘러싼 논쟁이 길어지면서 방통위의 개점 휴업 상태가 얼마나 오래갈지 우려스럽다. 당장 iptv 상용화 일정 차질이 예상되는 데다 케이블tv 채널 변경에 필요한 약관 신고도 접수조차 안 받는 등 일체의 민원처리가 올 스톱 상태고 방통위 홈페이지도 '준비 중' 일색이어서 이용을 못하는 형편이다. 위원장 감투가 미디어권력 쟁탈전 양상을 띠면서 새로운 21세기형 미디어정책 틀을 마련하기도 전에 삐걱거리는 모습이다. 더욱 걱정되는 것은 나머지 상임위원(4명) 자리를 놓고 여기저기서 들리는 잡음이다. 우리는 특히 통신분야 유력한 후보군 뒤에서 나오는 네거티브전 또는 정치적 고려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 하면 '영남중시론' 속에 장관급 인사 중 충북 인사는 1명도 없어 나온 '충북홀대론'을 굳이 거론하지 않더라도 줄곧 후보로 거명돼온 이 고장 출신 김동수 정통부 차관이 그 와중에 희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겠기 때문이다.

김 차관은 옛 지방명문고 출신도 아니고 지방대를 졸업했지만 특유의 근성과 노력으로 차관까지 오르는 동안 선후배로 부터 광범한 사랑을 받아왔던 정통부의 정통 관료다. 실력과 인품에서 단연 뛰어나 국장 시절엔 직원으로부터 '베스트국장'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가 발탁됐을 당시 지역에서 크게 환영받았던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그는 특히 균형감각과 전문성을 고루 갖추고 있어 정통부 정책 기능의 혼선과 약화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적임자로 꼽히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 정치권 줄대기에 나선 일부 영남 인사들에 의해 근거도 없이 견제당해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