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통일된 후 영토 회복에 대한 역사적 정당성을 주장할 것에 대비해 중국이 고구려사를 수정했다는 주장이 중국 학자에 의해 제기됐다.

중국 인민대 스인홍 교수는 15일 제주평화연구원에서 열리는 국제워크숍에 앞서배포한 '동북아에서 다자 분쟁 예방 제도화의 전망'이란 발표자료에서 "한국과 중국사이의 역사문제 갈등은 '한민족 고대사'의 문제로까지 비화됐고, 특히 고구려사의 해석문제가 핵심으로 대두됐다"고 말했다.

그는 "과연 무엇이 중국으로 하여금 한반도 고대사에 대한 기존의 기본 해석을 수정하도록 한 것인가"하고 물음을 던진 뒤 "남북한이 보여주는 강한 민족주의(특히남한의 대중민족주의) 경향 때문에 현재 남북통일의 가능성이 점차 제기되는 상황에서 중국은 남북한 또는 통일한국이 차후에 중국의 일방적 '역사 정당화'에 대항해 영토적 또는 인종적 회복주의 주장을 제기할 수도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준비를 역사문제와 관련해 (고구려사 수정을) 진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며 "따라서 중국측의 관련역사 수정은 그 특징상 공격적이라기 보다는 다분히 예방적이고 방어적"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세계경제국제관계연구소 바실리 미키프 교수는 남북관계와 관련, "현재 최선의 선택은 외교관계 형식을 취한 남북한의 공존으로, 한반도 통일 이전에 북한은 시장-민주주의 원리로 살아가는 법과 함께 남한의 도움을 받아 시장경제에서 '고기잡는 법'을 배울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미.일.중.러 5개국이 국제기구의 참여하에 북한의 이러한 시장변환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북한을 지원하는 '특별 펀드'를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리즈대 죄른 도쉬 교수는 "동북아나 아.태지역의 구조적 맥락은 핵문제 협력의 제도화에 성공한 2차 대전후 유럽의 상황과는 크게 다르기 때문에 유럽의 안보협력 모델은 고려할만 하지만 그것의 달성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 발터 클리츠 한국사무소 대표는 "북한은 신뢰구축을 위한 징표로 인도주의적 지원의 분배에 대한 통제를 포기하고 국제 원조기관을 다시받아들여야 한다"면서 "대결을 떠나 신뢰를 통한 평화적 공존을 거쳐 상호이해와 협력으로 나아감으로써 번영과 파워, 책임이 균형을 이룬 동북아지역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주의적 대화를 위한 Henry Dunant 센터'의 마이클 바티키오티스 동남아시아 대표는 "6자회담 틀과 최근 남북한 사이의 외교 패턴은 동북아에서의 분쟁 예방에 있어서 성공적인 토대의 등장을 시사한다"면서 "이러한 돌파구는 남북외교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한국전쟁의 종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제주평화연구원 고성윤 연구실장은 "제주 프로세스의 초기단계에서는 안보문제에 대한 단기적 해결책을 찾기보다는 비전통적인 문제들을 중심으로 지역내 대화와 협력이 지속적이고 정례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평화연구원은 제주 프로세스와 현재 설립을 추진중인 '유엔평화활동 아태지역교육훈련센터'를 양대 축으로 해 동북아 국가들간의 상호신뢰를 제도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