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개발권 기본구상 발표서 누락

정부가 발표한 초광역개발권 기본 구상에 내륙벨트가 누락되면서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추진 방향이 바뀌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는 서해안 신산업벨트를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성격과 비슷한 초일류 첨단산업 집결지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충북 등 5개 시·도가 공동 추진한 '내륙첨단산업벨트 공동개발 구상안'에 따르면 이 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동해안의 강원 평창부터 충북·충남·대전 등 중부내륙을 거쳐 서해안의 전북 정읍에 이른다. 충북과 충남, 대전, 강원, 전북 등 5개 시·도이며 28개 시·군·구가 포함됐다.

내륙벨트는 5개 시·도가 전략적으로 연계해 발전시켜 나가야 할 5대 사업으로 △의료산업 △전자·정보·부품소재산업 △바이오·신소재산업 △차세대 대체 에너지산업 △항공·우주 과학산업 등 첨단산업으로 방향을 정했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서해안 신산업벨트(골드벨트)의 추진 방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서해안 신산업벨트(골드벨트)의 경우, 동북아의 국제비즈니스 거점 지역이자 초일류 첨단산업의 집결지로 육성된다.

경쟁력 있는 초일류 첨단산업 벨트 구축을 위해 아산만과 파주·평택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허브를 구축하게 된다. 수도권·충남·전북을 연계해 자동차·기계 등 기존 주력 산업과 IT산업 간에 융합을 유도하게 된다.

이처럼 내륙첨단산업벨트가 서해안 신산업벨트의 추진 방향이 비슷해 내륙벨트의 성격이 바뀌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 정부는 지난 8월 초광역개발권에 내륙벨트의 추가 지정을 확정하면서도 추진 방향은 첨단산업형, 낙후지역 성장촉진형, 하천유역형, 산악유역형, 역사문화권형 등 다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더욱이 정부가 초광역개발권을 발표하면서 최상철 지역발전위원장이 "초광역 4대 벨트 구상 발표로 이명박 정부의 3차원적 지역 발전 전략이 마무리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해 이 같은 우려를 더하고 있다.

정부와 지역발전위원회는 4대 초광역개발권의 개발 효과를 내륙으로 확산시켜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내륙벨트 기본 구상을 내년 1분기까지 확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내륙벨트의 추진 방향에 대해 아직 확정짓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내륙벨트를 첨단 산업이 집약된 고부가 가치의 벨트로 만들기 위해 5개 시·도가 힘을 모아 첨단산업이 집약된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추진을 관철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도 관계자는 "추진 방향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만큼 첨단산업이 집적된 내륙첨단산업벨트로 지정 받기 위해서 5개 시·도가 또 한번 힘을 모아 정부에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천영준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