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의창>박재국 충북도의원

박재국
충북도의원

우리나라에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세계와 견주어 뒤지지 않는 산업이 있는 이유는 그 저변에 우수인력이라는 막강한 자원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에서는 우수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그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우수한 인력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으며, 지역에서는 인재를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지역에는 인재를 양성하는 시스템이 부족하다. 국가 경쟁력을 결정하는 것은 지식과 인적자원을 공급하는 대학이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최근 발표한 '세계경쟁력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82%로 55개국 중 4위로 매겨졌다. 그러나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인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 부합도'는 53위로 매겨졌다.
즉,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최상위로 양적 우위성은 가지고 있지만, 대학교육의 질에 있어서는 사회와 기업이 요구하는 수준을 대학 교육이 못따라 간다는 얘기다. 대학이 배출한 졸업생은 많지만, 쓸만한 인재는 적다는게 기업들의 오랜 불만이다.
경총에 따르면 대졸 신입사원을 재교육하는 데 1인당 평균 20.3개월 동안 6200만원을 들여야 한다.
하지만 대학교육만 제대로 된다면 상당 부분이 쓰이지 않아도 되는 돈이다. 대학교육이 우위에 서지 않고선 세계 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지역대학의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
대학은 인력수요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그 핵심은 특성화·전문화이다. 특히 지역의 대학은 지역의 경제와 산업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즉, 산업체와 연계한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물론 기초학문을 연구하는 연구중심 대학도 필요하지만 특성 없는 백화점식 학과 운영, 강의실에만 머무는 교육으로는 더 이상 기업과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
이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장위주의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의 커리큘럼도 기업체의 수요조사를 통해 확정하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산학연 협력을 통하여 산업현장을 캠퍼스로 옮겨야 하며, 대학을 기업의 연구개발실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방학을 이용해 학생들의 산업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현장 참여 프로그램도 실시하여야 한다.
대학은 국가의 기간산업이나 정형화된 산업에서 실용적 업무를 담당할 인력을 양성해야 하며, 교육과정을 통한 지식습득과 훈련기간이 마치면 바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업종과 분야에서 종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지방소재의 중소기업은 기술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아니라 직원을 교육시킬 만한 여력이 없다. 기업발전을 위해서는 우수인력을 외부에서 조달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내부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로 양성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최근 고유가와 국제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어려운 경제환경에 있는 기업으로서는 인재 확보 부문에서만이라도 비용을 줄이는 것이 절실할 것이다. 지역대학은 이제 신규 인력공급을 위한 인재양성의 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기업의 내부인력에 대한 재교육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 구축에 힘써 기업의 재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까지도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