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밥(?) 한 공기를 추가했다.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 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가 변하는 것을 사이시옷 현상이라 한다. 한글 맞춤법 30항은 사이시옷이 일어나는 환경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첫 번째,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써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다. 여기에는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고랫재, 귓밥, 나룻배' 등과 뒷말의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등이 있다.

두 번째,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다. 여기에는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뒷병, 머릿방, 뱃병, 사잣밥' 등과 뒷말의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등 그리고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등이 있다.

세 번째, 한자로 이뤄진 합성어의 경우도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일이 많지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툇간(退間), 횟수(回數)'를 제외한 나머지에는 '초점(焦點이)'처럼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앞말이 모음 'ㅣ'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 'ㅃ'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사이시옷 현상을 적용해 '공깃밥'으로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