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학교 국어문화원

[충청일보]◇ 우리는 의례껏(?) 그렇게 해 왔어.
 

우리가 쓰는 말 중에 '당연히 그렇게 해 왔다'라는 뜻이 있는 '의례껏'이라는 표현을 자주 쓴다.

여기에서 '두 말할 것 없이 당연히'라는 뜻으로 쓰는 '의례'는 '으레'로 써야 올바른 표현이다.
 

예를 들면 '그녀는 선비는 으레 가난하려니 하고 살아왔다' 등이 있다.

표준어 규정 10항에서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라는 규정에 따라 '으레'를 표준어로 쓰는 것이다.

'으레'는 원래 '예에 따라서'라는 뜻의 '의례(依例)'가 '으례'로 변한 후에 '례'의 발음이 '레'로 바뀐 것이다.

즉, 모음이 모두 단순화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받아 들여 새 형태를 표준어로 삼아 '으레'를 쓰는 것이다.
 

◇ 그는 곧 잘 으시대곤(?) 한다.
 

흔히 남에게 우쭐거리는 모습을 표현하는 말을 '으시대다'로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으시대다'는 '으스대다'로 써야 올바른 표현이다.
 

예로는 '자기 지방 출신 국회의원 이름을 마치 친구나 되듯 아무개가 어쩌고 하면서 으스대곤 했어요'가 있다.

'ㅅ, ㅈ, ㅊ, ㅆ, ㅉ' 등과 같은 전설 자음 아래 'ㅡ, ㅜ'와 같은 후설 모음이 오는 경우 앞에 있는 전설 자음의 영향으로 전설 모음인 'ㅣ'로 바뀌는 전설모음화는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으시대다'는 '으스대다'의 잘못이며, '어울리지 아니하게 우쭐거리며 뽐내다'의 뜻으로 '으스대다'가 표준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