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9일 오전 국회에서 새해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면서 '세월호'를 단 한 차례도 언급하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를 통해 드러난 관피아(관료+마피아) 문제나 부정부패와 비리 등 사회적 적폐에 대해 "최근 우리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각종 적폐의 흔적들이 세월이 흘러도 후손들에게 상처로 남는다는 교훈을 얻었다"고는 했으나 세월호를 직접 거론하지는 않은 것.

여야가 이달 말까지 처리키로 합의한, 이른바 '세월호 3법'에서도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제정안'과 '유병언법'으로 통하는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대해서만 조속한 통과를 요청했을 뿐 '세월호특별법'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박 대통령은 또 국가안전처 신설 등 현장 중심의 일원화된 재난안전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조직법의 시급한 개정을 촉구하는 한편 국가 안전대진단 추진 등 방안을 밝히면서도 세월호를 언급하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

박 대통령이 이처럼 세월호를 언급하지 않은 것은 '세월호특별법' 관련 협상이 여야 간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대통령이 이에 간여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견지했기 때문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귀띔했다.

이와 함께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6개월이 지난 상황에서 이제는 세월호 국면에서 벗어나 일상으로 돌아가 경제활성화나 민생경제 회복에 매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낸 측면 역시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다만 세월호 참사 이후 드러난 각종 문제점에 대해 "정부는 내년에 국민께 약속드린 국가혁신을 일관되게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약속하며 강한 적폐 청산 의지를 보였다.

박 대통령의 이날 연설문은 원고지 86장 분량의 장문이었고, 이를 읽는 데만 37분이 소요됐다.

연설문에는 총 2456개 단어가 사용됐는데 사용 빈도에 따라 박 대통령이 강조하고자 한 부분이 뚜렷이 드러났다.

가장 많이 등장한 단어는 '경제'로, 59차례나 사용됐다. 이어 국민(31차례), 안전(19차례), 성장(15차례), 혁신·노력(각 14차례), 창조(12차례), 개혁(11차례), 규제(9차례), 도약(7차례), 복지(6차례) 등이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