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학교 국어문화원] ◇친구는 '재떨이/재털이'에 담뱃재를 털었다

담배의 탄 재를 떨어 놓는 기구를 '재떨이'라고 한다.

그런데 위 예문처럼 '재털이'라고 흔히 일러지고 있다.

그러나 '재털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재털이'를 '재떨이'의 잘못으로 규정하고 '재떨이'만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

'재떨이'란 단어는 '재-떨-이'의 세 형태소가 합성된 것이다.

'재'는 '담뱃재'를 이르는 명사이고, '떨'은 '떨다'의 어간이며, '이'는 접미사다.

이에 반해 '재털이'는 '재-털-이'로 '털'은 '털다'의 어간이다.

동사 '떨다'와 '털다'는 같은 뜻을 지닌 말로, '털다'는 '떨다'의 거센 말이다.

동사 '떨다'는 '붙어 있던 것이 대번에 떠나가도록 급격한 충격을 주다.'를 뜻하는 말이다.

◇여름에는 '등목/목물'이 최고다

여름에 팔다리를 뻗고 엎드린 사람의 허리 위에서부터 목까지를 시원한 물로 씻어 주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를 가리키는 말로 '등목' 또는 '목물'이 있다.

그러나 둘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지는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표준어 규정 26항은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등목'과 '목물'을 모두 표준어로 삼은 것으로, 두 가지 표현을 모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