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희 충북대 교수·국가위기관리연구소장

[이장희 충북대 교수·국가위기관리연구소장] 지난 6월말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들이 영국의 유럽연합(EU)탈퇴, 즉 브렉시트 여파로 큰 몸살을 앓고 있다. 브렉시트란 영국이 기존에 가입해 있던 유럽연합을 탈퇴한다는 의미로 영국(BRITAIN)과 탈퇴(EXIT)의 합성어이며, 3년 전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를 일컫는 말인 그렉시트(GREXIT)에서 따온 말이다. 6월 23일 시작된 투표의 개표결과는 탈퇴가 52%이고 유럽연합 잔류가 48%였다고 발표되었다.

 이번 영국의 브렉시트 투표결과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극명한 정치판을 바로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웠다. 개표결과 지역 간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는 잔류, 잉글랜드는 탈퇴의사표시가 강한 반면에 잉글랜드 중심인 런던시는 잔류를 희망했다.

 우리나라 정치 지형의 지역주의가 팽배해 있는 것과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영국이라는 연방제의 의미도 있지만 소득이나 인종, 생활수준 차이가 있고 또 영국은 유럽연합 결성초기부터 참여 반대기류로 1년여 늦게 가입해 '한지붕 두가족'의 형태를 유지해온 것이 사실이다. 당초 탈퇴가 결정될 경우 영국의 경상수지가 나쁘고 2016년도 상반기의 재정적자가 55조원에 달해 파운드화의 하락이 당연시되었고 국제자본시장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영국의 경제사정이나 재정, 금융에 이어 영국민들의 삶의 질 하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잔류가 좀 더 나을 것이라는 세계 각국의 의견이 있었으나 결과가 반대로 나왔고, 개표결과에 놀란 일부 국민들이 재투표 청원을 추진하고 있으며, 스코틀랜드는 유럽연합에 남기위해 분리독립을 재추진하겠다는 보도까지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영국의 일부 정치인들이 탈퇴를 주도한 의견은 무엇일까? 이는 유럽의 패권주의에서 밀림에 따른 자충수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포르투갈, 스페인에 이어 18세기부터 프랑스와 독일의 거센 저항에도 불구하고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어 패권을 차지했으나 발견한 신대륙인 미국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몰락을 자초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결국 이후 통일된 독일과 프랑스에 밀려 자본력이 약화되어 자존심이 크게 상해있고 유럽을 통일하려는 독일 주도의 패권주의 구도에 흡수되지 않겠다는 자존감이 상존해 있었던 것이 이번 투표결과라고 본다. 또한 영국 산업구조도 영어교육이나 관광업, 그리고 금융중개수수료에 의존해 부가가치 창출 업종이 없어 국민생활고에 비상등이 켜진지 오래이다. 여기에다 난민 20만인구의 유입이나 분담금 200억달러를 거부해 복지에 쓰자는 포퓰리즘이 상승작용을 한 것이다.

 브렉시트로 인한 글로벌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3~4년 지속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무난할 것이다. 영국과의 교역이 1.4%에 불과하고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적기 때문이다. 일본이 이번사태로 5년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 최대 피해국이 되었지만 우리나라도 4~5년 뒤 세계경제 질서 재편에 대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내수경기가 침체되고 고용시장도 불안하고 수출감소 추세이므로 외환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경영관리 컨설팅을 강화해야 한다. 충북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영국이 말한대로 '독립기념일'이 될지 '검은 금요일'이 될지는 2년 후에 밝혀지겠지만 영국이 붕괴의 신고립주의를 선택하는 자충수를 둔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