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민병주 전 충북도도로관리사업소 총무팀장

▲ 민병주

[제공=민병주 전 충북도도로관리사업소 총무팀장] 손자는 "용병 방법은 병력이 열배면 포위하고, 다섯 배면 공격하며, 두 배면 나누어 협공하라. 적보다 우세하면 싸워야 하고, 적보다 병력이 적으면 달아나야 하며, 적보다 열세면 피해야 한다. 적보다 약한데도 굳게 저항하면 강한 적의 포로가 된다(用兵之法 十則圍之 五則攻之 倍則分之 敵則能戰之 少則能逃之 不若則能避之 小敵之堅 大敵之擒也)"고 했다.

이 구절은 전쟁에서 전력(戰力)에 따라 용병을 달리하고, 그 강함과 약함에 따라 진퇴를 신축적으로 하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전쟁 상황과 형편에 가장 알맞은 조치를 능동·탄력적으로 하는 것이 아주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쟁의 원칙과 이치에 매우 합당하다. 전력의 운용을 꿰뚫고 있어서 그렇다.

전쟁에서 쌍방은 상대의 전력과 병력이 자기들의 몇 배가 되는 것을 산술적으로 따지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서로가 그 내막을 은폐하고 있고 또한 급박한 상황에서 이것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여러 정보를 종합하면 어느 정도 알 수는 있다. 자국과 아군은 이것을 두루 활용해야만 한다. 전쟁의 모든 국면에 대처하는데 기본이기 때문이다.

적군을 둘러싸서 넓은 망에 가둔 다음 그들이 도망하거나 후퇴하려는 길목을 막아 놓고 섬멸하는 것이 포위다. 이러한 포위를 병력이 열 배가 될 때 하라는 것은 적군보다 모든 면에서 압도할 수 있는 전력을 갖추고 있을 때 실행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적군을 주동·적극적으로 치는 것이 공격이다.

이러한 공격을 병력이 다섯 배 일 때 하라는 것은 모든 면에서 전력이 월등하고, 주도권을 쥐고 있을 때 이행하는 것으로 여겨야 한다. 적군을 양쪽에서 끼고 치는 것이 협공이다. 이러한 협공을 두 배 일 때 하라는 것은 전력이 적군보다 우세하고 이것을 실행할 조건과 상황이 무르익었을 때 수행하는 것으로 헤아려야 한다.

손자는 상대보다 병력이 많으면 적극적으로 싸우고 그 반대면 후퇴와 회피를   하라 했다. 이것은 충분하게 싸울 상황이면 싸우되, 그 반대임에도 적군을 가볍게 보고 또 고집을 부리면서 싸우려고만 하는 것은 마땅히 경계해야만 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래서 노자는 "적을 경시하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은 없다"고 했나보다. 전쟁은 한 번의 싸움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포기할 상황에서는 미련 없이 퇴각과 철수를 하면서 다음 전투에 대비하는 것이 슬기로운 것이다. 이렇게 하지 않고 대책 없이 허물어지면 그것은 악수(惡手)중에 악수다. 전쟁에서 전력과 상황에 따라 유연함과 신축성을 배가하라는 것이 손자의 큰 가르침이다.  

나라와 조직 운영 그리고 우리들의 삶도 마찬가지이다. 리더와 개인들 자신이 경직되고 억지와 아집에 빠져 있으며, 사고방식과 실행태도가 독단적일 뿐만 아니라 형세에 잘 대처하지 못하고 또한 추세에 함몰되면서 큰 흠이 나타나면 어떤 결과가 있겠는가? 주관과 관리하는 위치에 있는 모든 사람과 각자들은 이 글귀의 참뜻을 새겨보고 바르게 실행해 보라.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