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락 변호사

[윤종락 변호사] 무더운 여름이 절정에 다다르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무더운 여름에 체력 보충을 하기 위해 복날을 정해놓고 보양식을 먹는다. 우리나라는 보양식으로 삼계탕, 장어, 염소탕 등이 있지만 개고기도 빼놓을 수 없는 우리의 보양식일 것이다. 개고기는 따뜻한 성질을 지닌 음식으로 몸이 찬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소화가 잘 되는 단백질 음식이며, 양기를 보충해주는 음식으로 성기능 증진과 같은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애견가구가 늘어가고 있는 현재 개고기를 먹는 식문화를 반대하는 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개는 유일하게 인간과 교감하는 동물로서 주인을 알아보고 따르는 동물인데 그러한 개를 잡아먹는다는 것은 비인간적이라는 것이 그 이유이다. 반면에 개고기를 먹는 것이 비인간적이라면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먹는 것은 인간적인 것이냐는 반문을 하면서 개고기를 먹는 것은 그 나라의 식문화의 일부일 뿐이지 그것이 야만적인 문화이거나 비인간적인 문화는 아니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위 두 주장은 모두 설득력이 있고, 타당성이 있다. 그러나 개고기에 대한 의견 차이는 옳고 그름의 관점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문화와 경제가 변화하는 가운데 그 의식의 변화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악지대가 많고, 평야가 적은 지형 탓에 예전부터 식량이 늘 부족했다. 이로 인하여 우리 선조들은 개도 식량으로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산업화를 통해 우리나라도 먹을 것이 풍부해지고, 경제 성장으로 자연스레 애견문화도 발달하게 되어 이제는 개를 식량으로 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개를 식량으로 한다는 것이 야만적이라는 시각도 생겨난 것이다.

 현재 개고기를 먹는 사람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애견문화가 발달하고, 경제성장으로 식문화가 다양해지면 개고기의 수요는 점점 더 줄어들 것이다. 이와 같은 현시점에서 개고기에 대한 논쟁은 먹느냐 먹지 않느냐 보다는 개고기의 유통에 대해 심각하게 논의를 해야 할 것이다. 개공장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육하는 현장은 너무도 참혹하다. 좁은 공간을 쇠창살로 막아 놓고, 배설물도 제대로 치우지 않고 있는 사육현장이 문제인 것이다.

 식용으로 하는 개를 어떠한 환경에서 사육해야 하고, 어떠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개고기를 먹던, 먹지 않던, 그것은 개인의 취향 및 사회의식의 자연스러운 변화에 맡겨 두고, 개고기의 유통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비록 식용으로 사육되는 개일지라도 그 사육과 유통에 있어서는 생명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개고기를 먹느냐, 먹지 않느냐의 논쟁을 기회로 개고기의 사육과 유통에 대하여도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그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점차 우리가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닭, 돼지, 소 등에 대한 사육과 유통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인간은 가축을 길러 고기를 얻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생명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있어야 한다. 개뿐만 아니라 다른 가축에 대해서도 그 사육환경과 유통과정을 살펴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