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규 청주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이동규 청주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설 명절은 우리나라 2대 명절 중 하나이다. 새해를 맞이하는 명절임에도 불구하여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양력보다는 음력설을 더욱 선호한다. 일제 강점기, 일본은 우리나라의 음력설을 없애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고 한다. 음력설에 고향을 방문하는 것을 금지한다든지 떡을 만들어 파는 방앗간을 처벌하는 식으로 말이다. 이런 분위기는 놀랍게도 박정희 정권 때까지 유지되었다. 당시 정부는 각 기업들이 재량으로 휴무하여 음력설을 지키는 것조차 허용하지 않았다. 음력설은 노태우 정권이 들어선 후에야 지금의 3일간의 연휴가 보장되었다.

 어째든 설 명절은 온 가족이 함께 모여서 새롭게 시작되는 한 해를 맞이하는 명절이다. 덕분에 매년 명절 때만 되면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던 가족들이 한꺼번에 이동하느라 전국의 고속도로가 몸살을 앓기도 한다. 설 명절의 유래는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서기 488년 비처왕 때 이미 설날을 쇠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스라엘에도 우리와 같은 명절이 있다. 그들은 유월절, 맥추절, 수장절을 3대 절기로 지킨다. 그 중에서도 유월절은 이스라엘에게 참으로 의미 있는 절기이다. 이 날은 이스라엘의 하나님 야훼가 이집트의 파라오와 대결하여 최후의 승리를 얻은 날을 기념하는 절기이기 때문이다. 야훼는 이스라엘의 지도자 모세에게 이집트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의 첫 소생들이 목숨을 잃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스라엘 백성이 이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린 양을 잡아 그 피를 자신들이 머물고 있는 집의 문 인방과 문설주에 발라야 했다. 그럼 죽음이 그 피를 보고 그 집에 있는 사람은 그가 이스라엘 사람이든 이집트 사람이든 해하지 않고 그대로 넘어갈 것이다. 그날 밤 온 이집트에는 애곡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파라오는 결국 무릎을 꿇고 이스라엘 백성이 노예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게 떠나는 것을 허락한다.

 이스라엘 민족은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유월절을 지킨다. 유월절이 되면 그들은 온 가족이 함께 모여 누룩을 넣지 않고 구운 무교병과 쓴 나물을 먹는다. 식사를 할 때 가족의 어른은 어린 아이 하나를 택하여 질문을 하게 한다. 그럼 지목된 아이는 유월절의 의미가 무엇이냐고 묻는다. 그럼 아이를 지목한 어른은 자신이 어렸을 적 부모에게 배운 그대로 자녀들에게 설명해 준다. 이런 풍습을 통해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과거 경험을 계속해서 자손들에게 전해주었다.

 독특한 점은 이스라엘이 가장 큰 절기로 생각하는 이 유월절의 특징이 즐겁고 행복했던 경험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유월절 날 그들이 먹는 무교병과 쓴 나물은 당시 조상들이 겪었던 급박한 상황과 고난을 상징한다. 이스라엘 민족은 절기를 통해서 자신들의 현재의 삶이 과거 조상들의 많은 고난과 어려움을 딛고 일어선 결과임을 늘 기억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런 과거의 고통을 반복하지 않고 새롭게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발견하기 위함인 것이다.

 우리에게 있어 과거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어떤 과거는 참으로 아픈 기억일지언정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그러한 가치를 가진 기억들이 있다. 오히려 그 아픔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나를 준비시키는 기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과거를 넘어서지 못하면 똑같은 과거는 늘 반복되기 마련이다. 과거의 아픔조차 새로운 삶을 위한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 그렇게 할 때 과거의 아픔은 오히려 나를 인도하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