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최근 이시종 충북지사의 관심은 '강호축'(강원~충청~호남) 개발에 쏠려 있는 듯 하다. 기회 있을때마다 강호축개발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지난 19일 도청 간부회의자리에서 이 지사는 강호축 개발의 핵심 SOC사업인 충청내륙고속화도로사업과 충북선철도고속화사업을 적극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또 강원 호남 등 관련 자치단체의 협조를 어끌어낼 수 있는 토론회와 공청회도 준비하라고 주문했다. 일각에서는 민선 5기와 6기 바이오와 태양광을 도정의 기치로 내세웠던 이 지사가 3선 도전을 앞두고'강호축'이라는 '빅 피처' 구상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어쨌거나 이 지사의 정치적 노림수가 어디에 있든 '강호축' 개발논리는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딱 들어맞는 설정임에는 틀림없다. 기실 성장위주의 개발정책이 우선시되던 과거 정부시절 우리나라의 개발은 서울과 부산을 거점으로 한 경부축이 우선시 돼 왔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주요공단이 입지해 있는 곳을 어림 추려봐도 대부분 경부축에 자리하고 있다. 대전, 구미, 대구, 울산, 포항 등 대한민국의 대표공단이 경부축에 인접해 있다. 반면 경부축의 대칭축이라 할 수 있는 강원과 호남축은 개발이 더디거나 경부축에 비해 규모가 작다. 때문에 강호축의 개발은 시대적 요청인 셈이다. 하지만 강호축개발이 분명한 대의명분을 갖고 있다고 하지만 성공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그 가운데 가장 큰 과제가 연관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협조다. 경부축 개발당시에는 중앙정부에서 모든 권한을 갖고 전략을 세웠기 때문에 사업추진이 비교적 용이했다. 하지만 지금은 세상이 달라졌다. 민선자치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자치단체마다 생각이 다르다. 사안별로 철저하게 이해 득실을 따져 자신들에게 득이되면 손을 잡고 그렇지 않으면 한발 뺀다. 우리는 그동안 수많은 개별사안에 대해 지자체별 공조의 허상을 무수히 목도했다. 멀리 돌아 볼 필요도 없다. KTX세종역 신설을 놓고 충북·충남과 세종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리한 소모전을 벌였는가. 단체장들이 같은 당 소속인데도 한 치의 양보가 없었다. 자신들의 이해를 최우선하는 자치단체의 속성상 어찔할 수 없다하지만 이렇게 충청권에서도 사안별로 첨예하게 이해관계가 엇갈렸다. 겉으로는 공조를 외치면서도 속으로는 저마다의 계산기를 두드리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강호축 개발의 경우 자치단체의 이해관계가 얼킬 사항이 거의 없다는 면에서 손쉽게 공조를 이끌어 낼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공조의 강도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 볼 문제다. 충북이 중심이 된 공조에서 강원과 호남이 과연 '내 일'처럼 나설지는 의문이다. 말로는 공조를 한다고 하지만 자신들에게 돌아올 이득이 적다면 선언적 공조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강호축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치단체별 또는 권역별로 분명한 개별사업의 포지셔닝이다. 경부축에 대칭되는 강호축이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빅 피처'가 될 지 '스몰 피처'로 끝날지는 바로 여기에 답이 있는 것이다. 또 그런 구실과 명분을 만드는 것은 충북도가 앞으로 심도있게 고민해야 할 과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