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비자물가 1.3% 상승...음식값 등은 10% 이상 올라
통계청, "460개 대표품목 가중평균 산출방식 때문" 설명

[대전=장중식 기자] 정부가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가 일반소비자들이 현실에서 접하는 물가와 체감도가 차이가 많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3%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2.1%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날 발표된 충청지역 소비자물가동향 또한 이와 큰 차이가 없었다.

3월 대전지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5% 상승했고, 충남지역과 충북지역은 각각 1.4% 1.5%  올랐다. 충청권 대부분의 지역에서 생활물가지수에 비해 신선식품 물가지수가 비교적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통상적으로 생활물가지수는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를 뜻한다. 신선식품지수 또한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를 뜻한다.

문제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물가지수와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이 물건을 구입하면서 느끼는 체험지수와의 격차다.

통계청 발표대로라면 음식값과 채소류 등은 아무리 평균치를 높여도 5% 미만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음식값은 10~20%까지 치솟았고, 채소류 또한 이상기온 등의 여파로 30% 이상 올랐다.

소비자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물가지수는 물가지수일 뿐'이라는 반응이다. 워낙 여러가지 품목을 조사대상으로 하지만, 실질적으로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이처럼 소비자물가 총지수 상승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이 다른 이유에 대해 통계청은 "소비자물가는 대표품목(2015년 기준 460개)의 가격변동을 가중평균하여 산출되지만, 체감물가는 개별가구별로 구입하는 특정품목의 가격변동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주거 난방부문을 보면, 소비자물가에는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등이 모두 포함되지만, 개별 가구는 이 중 하나만을 사용하므로 체감난방비가 다를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같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는 품목중심의 물가지수 변동현황 자료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