傍若無人 방약무인

傍 곁 방: 곁, 성(姓)씨의 하나

若 같을 약: 같다, 만일

無 없을 무: 없다, 말라

人 사람 인: 사람, 타인

풀이-곁에 아무도 없는 것과 같이 타인의 입장이나 형편을 살피지 않고 언행을 제멋대로 하는 것을 말한다. 즉, 무례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가리켜 주로 쓰는 말이다.

유래-전국시대 위나라에 진시황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형가가 있었다. 그는 책을 읽는 것과 검을 쓰는 것을 즐겼다. 위나라에 정치에 대한 의견을 진언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그 후로는 여러 나라를 떠돌아다니며 각지에서 기인과 호걸들을 사귀었다. 그 만남들 중, 산서의 북부지역에서 개섭이라는 자와 검에 대해 이야기를 하다가 의견이 충돌하여 개섭이 화를 내자 그 자리를 떠나 버렸다. 또 한단을 갔을 때, 노구천이라는 자와 주사위 놀이를 하다가 승부 때문에 다투다가 노구천이 소리치며화를 내니 형가는 아무말없이 그 자리를 나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그 후에 연나라로 가서는 백정과 축(거문고와 비슷한 악기, 대<竹>로 현을 퉁긴다)의 명수인 고점리를 사귀었다. 이 두 사람과 형가는 날마다 큰 길가에 나가 술을 마셨다. 취기가 오르면 고점리는 축을 퉁기고 형가는 여기에 맞추어 노래하며 함께 즐겼다. 그러다 감정이 극에 달하면 울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습이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 것 같았다. 여기에서 '傍若無人'이라는 말이 시작되었다. 형가는 후에 연나라 태자 단의 부탁으로 진시황을 죽이기 위해 죽음을 각오하고 길을 떠난다. 마중 나온 사람들 중에 고점리도 있었는데, 그들은 역수물가에서 작별하게 되었다. 이때 고점리는 축을 연주하고 형가는 화답하며 노래를 부른다. 그 유명한 영웅의 비장한 기개를 말하는 대표적 구절로 전해지고 있는 형가의 시이다. '風蕭蕭兮易水寒, 壯士一去兮不復還 : 바람은 쓸쓸하고 역수(易水)는 차가운데, 대장부 한번 떠나면 다시 오지 못하리.'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려고 가혹한 법을 만들어 분서와 갱유라는 역사에 지울 수 없는 오명을 남긴 것이다.역사책에 기록되는 이름보다는 사람의 가슴에 남는 따뜻한 이름을 품고 싶다.
<시인·우송대 외래교수>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