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거한 김영삼(YS) 전 대통령이 이끌었던 문민정부(1993∼1997년) 시절의 한국 경제는 고도성장기의 끝자락에 있었다.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7%대를 기록하는가 하면 1인당 국민소득이 처음으로 1만 달러를 돌파하는 등 각종 경제지표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다.

다만 임기 말에 닥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로 문민정부가 경제분야에서 쌓은 수많은 업적에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23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1992년 6.2%에 머물던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YS 취임 첫해인 1993년 6.8%로 뛰었다.

1994년에는 9.2%, 1995년에는 9.6%를 기록해 10%에 육박하는 고도성장을 구가했다.

문민정부 출범 3년차인 1995년에는 처음으로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한국 경제는 1996년에도 7.6% 성장률을 달성하면서 호조를 이어가는 듯했다.

선진국 진입의 관문격으로 불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그해 12월 가입한 것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상황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그후 한국경제는 갑자기 덜컹거리기 시작했고, 해외 유력 언론매체들로부터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렸다'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1997년 들어 한보철강, 삼미그룹, 기아자동차 등 대기업의 줄도산 사태가 터진 여파로 IMF로부터 긴급 구제금융을 지원받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그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5.9%로 떨어졌고, 이듬해인 1998년에는 -5.5%로 곤두박질쳤다.

1992년 24억3천100만 달러 적자였던 경상수지는 YS 임기 첫 해인 1993년엔 20억2천600만 달러 흑자로 반등했다.

그러나 1994년(-44억6천300만달러) 다시 적자를 기록한 뒤 1995년(-97억5천100만달러)에는 적자폭이 전년보다 2배로 커졌다.

이는 당시 원화 강세를 통한 국민소득 증대 효과를 보려고 정부가 저환율 정책을 썼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 영향으로 1996년에는 적자폭이 238억3천만 달러로 커지기도 했다.

IMF 구제금융을 신청한 1997년에는 102억8천5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YS 재임기에 마이너스의 늪에 빠졌던 경상수지는 김대중(DJ)정부가 출범한 1998년 400억5천600만 달러 흑자로 급반전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YS 임기 첫 해 4.8%, 마지막 해는 4.4%였다.

1994년(6.3%)을 제외하고 문민정부 내내 4% 중후반대를 나타냈다.

노태우정부 시절인 1990년대 초반의 물가상승률이 8∼9%대에 이른 것에 비춰보면 문민정부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물가관리를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업률은 1992년 2.9%, 1997년 2.6%로 YS 임기를 통틀어 2%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IMF 여파로 정리해고자가 쏟아진 1998년에는 실업률이 7.0%로 치솟았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