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한 규탄과 불매 운동이 충북 증평군과 진천군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충북 증평군 도안면이장협의회는 7일 도안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일본의 대 한국 수출 규제 및 과거사 왜곡 규탄 성명서'를 발표하고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했다.
도안면 이장 25명 전원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일본의 한국산 반도체 핵심소재에 대한 수출규제 강화와 한국의 화이트리스트 제외는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라며 "이를 즉각 중단 하라"고 요구했다.
또 "일본은 역사왜곡을 중단하고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판결을 즉각적으로 이행 할 것"을 촉구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 달 31일에는 증평읍이장협의회가 일본제품 불매 운동 동참을 결의했다.
이들은 군청 앞 등 주민들의 통행이 잦은 5곳에 현수막을 내걸고 주민들과 함께 일본제품 불매 운동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군 의회도 주민들과 뜻을 같이 하고 있다.
군 의회는 지난 달 25일 △일본의 경제보복 행위 철회와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판결 즉시 이행 △식민지배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 등을 골자로 하는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한 규탄 결의문'을 채택했다.
주민들에게는 일본 여행과 일본 수입 상품 구매를 자제해줄 것을 촉구 했다.
이 밖에도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충북지역본부 증평군지부도 현수막을 내걸고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저항하고 있다.
도안면이장협의회 신동숙 회장은 "일본의 현 조치에 대항하기 위해 주민들이 똘똘 뭉치고 있다"며 "우리 고장 출신 독립운동가 연병호 선생이 일제에 저항한 정신을 이어받아 일본이 이번 경제보복을 철회할 때까지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진천 지역에서는 이장단연합회, 진천상공회의소, 여성단체협의회, 주민자치연합회를 주축으로 20여개의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일본경제보복저지 범진천군민협의회'가 구성됐다.
오는 10일 진천읍사무소 앞 광장에서 지역주민 500여명이 참여하는 '일본의 경제보복 중단촉구, 진천군민 규탄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이날 오전 9시 범진천군민협의회는 규탄대회에 앞서 각계각층의 군민대표 33인을 선정해, 독립운동가 보재 이상설 선생 생가에서 아베정권의 경제보복 중단을 촉구하고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적극 나설 것을 결의하는 성명서를 발표한다.
이들은 100년 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이 태화관에서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했던 모습을 재현하는 퍼포먼스를 펼치며 많은 국민들의 동참을 호소해 나가기로 했다.
이어 'NO JAPAN'이라고 쓰여진 머리띠를 두른채 피켓과 현수막을 들고 500여명 이상의 군민들이 집회에 참여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진천읍 일원을 행진하며 일본의 경제보복의 부당성을 알리고 주민들에게 일본제품 불매를 독려하는 안내문을 배포할 예정이다.
이같은 진천 지역의 규탄운동은 타 지역에서 진보시민단체 또는 지방의회 중심으로 소규모로 이뤄지는 것과 대조적으로,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광범위한 지역주민 주도의 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진천군여성단체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의 사회단체들이 평화의 소녀상 건립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
진천지역 민간주도로 일본 규탄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진천군도 행정기관 차원에서 지역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군은 일본의 수출규제가 확대되면 제조업 중심의 지역경제에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원자재의 대일의존 비율이 높은 기업과 반도체 관련 기업의 피해상황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기초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후 피해가 발생되면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투입해 지원할 방침이다.
범진천군민협의회 공동대표인 이봉주 진천군이장단연합회장은 "진천군은 최근 몇 년간 제조업 중심의 우량기업들이 입지해 생산활동을 이끌며 대규모 일자리 창출 등 눈에띄는 지역경제 발전을 이뤄왔다"며 "앞으로 일본의 경제보복이 심화되면 지역경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가 흔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나라를 위해서도, 지역을 위해서도 주민들과 함께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나가 겠다"고 말했다. /증평·진천=곽승영·박병모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