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계획 차질 발생 우려
국회서 사업비 부활 총력
[충청일보 배명식기자] 충북교통방송국 설립 사업의 내년 예산이 기획재정부 심사에서 삭감돼 계획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충북도는 정부 예산안의 국회 심사 과정에서 줄어든 예산을 부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1일 도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달 29일 발표한 2020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충북교통방송국 설립 사업비는 57억원이다.
애초 도는 전체 사업비 288억원 중 145억원 반영을 요구했다. 용지 매입비 66억원, 건축비 11억원, 임시 개국 비용 68억원 등이다.
하지만 기재부는 요구액의 절반이 훌쩍 넘는 88억원을 삭감했다. 이 때문에 설립 추진이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이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2019년 정부 예산에 설계비 7억원이 반영된 데다 밑그림도 새로 그려졌다.
조속한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올해 안에 주파수 등 방송·중계소 허가를 받고 내년 3월까지 청사 임대와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준비가 잘 마무리되면 내년 10월 임시 개국할 예정이다.
하지만 내년 사업비 중 절반 이상이 깎이면서 이 같은 계획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도는 국회의원 등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삭감된 예산을 국회에서 살린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기재부 심사에서 교통방송국 설립 예산이 줄었지만 국회 심사에서 부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충북교통방송국 건립은 2014년부터 추진됐다. 청주·청원 통합 등으로 청주권의 교통량이 급증하자 설립 목소리가 커졌다.
민선 6기 충북도는 로드맵을 세워 공약 사업으로 추진했다. 이어 도로교통공단에 설립을 요청했으나 우선순위에서 제주에 밀린 뒤 지지부진했다.
지난 해 정부 예산안의 기재부 심사에서 설계비 7억원이 전액 삭감, 적신호가 들어왔으나 다행히 국회 심사에서 예산이 부활했다.
가칭 'TBN 충북교통방송국'은 지원심의국, 편성제작국, 방송기술국 등 3국에 리포터와 아나운서 등 30~40명의 인력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