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자료 문제 지적·졸속 행정 질타
날카로운 질문에 관리자들 진땀도 빼
[충청일보 박장미기자]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지난 11일부터 벌인 충북도교육청과 직속기관의 행정사무감사(행감)가 지난 22일 본청을 끝으로 모두 마무리됐다.
지난 해에는 '맹탕'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올해는 부실한 수감 자료의 문제점을 강하게 지적하거나 졸속행정을 질타하는 등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다. 때로는 날카로운 질문으로 관리자들의 진땀을 빼기도 했다.
감사 진행 중에도 추가자료 제출 요구가 이어져 교육 행정을 속속 들여다보겠다는 의원들의 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의원들은 꼼꼼히 자료를 들여다본 뒤 감사 자료의 잘못된 부분을 일일이 지적하기도 했는데 행감 첫날인 지난 21일에는 '자료 부실'을 지적하는 의원들의 잇따른 의사진행발언으로 한때 감사가 중지되는 파행을 겪었다.
둘째 날에는 일상 감사 강화, 통학버스 안전장치 확대 등 대안 마련을 주문하는 의원들의 질의가 잇따랐다.
지난 해 자체 평가한 '기관별 청렴도 및 부패방지 결과'에서 본청의 낮은 청렴도가 도마위에 오르기도 했다.
황규철 의원(더불어민주당·옥천2)은 "감사는 사후 감사를 통해 징계를 주는 게 아니다"라며 "사전에 일상 감사를 하면 예산 낭비 사례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성원 의원(더불어민주당·제천1)은 "마음건강증진센터 관련예산이 두 배 늘었고 인력도 늘었으나 학생과 학부모 상담 실적은 감소하고 학생 자살시도 건수는 증가하는 등 실적이 매우 저조하다"며 "마음건강증진센터 설립 본래 취지와 목적에 맞게 기능과 역할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개선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서동학 의원(더불어민주당·충주2)은 솔밭2초와 서연2초의 과대·과밀학급 문제와 관련 "4차례나 변경된 지구단위계획과 면밀하지 못한 학생수용계획에 문제가있다"며 "지구단위계획과 학생수용계획에 대한 재검토와 학부모 의견을 반영해 본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청주6)은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 촉진 조례를 발의했는데 이 조례가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구매 계획을 수립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의영 의원(더불어민주당·청주12)은 "통학버스 안전장치인 어라운드 뷰(Around View)가 설치된 임대차량은 전무한 상태"라며 "임차차량을 계약할 때 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을 우선 계약하고 미설치 차량에 대해서는 설치 확대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숙애 위원장(더불어민주당·청주1)은 "학교에서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지율이 13.9%에 불과하다"며 "현재 1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정서행동특성검사를 전체 학생들에게 확대해 아동학대 학생 조기 발견과 사후조치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행감 기간 각 위원회의 저조한 여성위원 비율, 충북학생수련원 제천분원 현대화사업 졸속 행정, 성희롱고충심의위원 구성, 특수학교 급식소 설치 문제 등이 거론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