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민부장 |
이에 따라 김 군수는 대법원 상고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일부에서는 벌써부터 군수직 상실 가능성을 청주·청원 통합 촉매제로 분석하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청주·청원 통합 찬성론자 중 일부는 '표정관리'에 들어갔다는 말이 들려오고도 있다.
하지만, 그동안 두차례나 무산된 청주·청원 통합을 지나치게 김 군수의 개인적·일방적 문제로 치부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일각에서는 청원군의 '버스투어'와 청주시의 '통합지원'을 비교해보면 청주시 선(善)·청원군 악(惡) 등으로 규정할 수 없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자율통합 시책에 대한 우려
그동안 청주시는 통합을 위해 올인했고, 청원군도 반대에 올인했다.
이 과정에서 선거법이라는 현행법의 굴레를 누가 더 유연하고 침착하게 대처했는지의 문제를 놓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바람직하지 않다.
행정안전부의 자율통합 시책에 대해 전국 광역·기초단체장들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정하지 못한 채 통합 찬성과 반대를 지역의 문제로 맡겨둔 채 통합 자치단체에 대해 교부금을 지원하겠다는 발상은 빈곤한 철학과 이념에서 비롯된 정책이다.
통합 반대의 도화선
행정구역 통합과 분리가 해당 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파급효과 등은 간과한 채 진행되고 있는 행안부의 자율통합 권장시책은 당장 중단돼야 한다.
또 이를 빌미로 자신의 정치적 욕심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잇따라 통합을 제의하고 있는 타 지역 일부 단체장의 행보도 마땅히 비난받아야 한다.
참여정부 집권 시절인 민선 3기 청주·청원 통합은 대세였음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청원군민들이 그토록 반대했던 것은 청주시장과 청원군수의 '합종연횡(合從連衡)'이었다.
줄곧 통합반대를 주장했던 청원군수가 청주시장과 미국 출장을 다녀온 뒤 갑자기 통합 찬성으로 돌아섰다. 주민들에게 어떠한 설명과 이해조차 구하지 않은 채 말이다.
이 과정에서 당시 한대수 청주시장은 통합시장 출마 포기를 선언했다. 명확히 말하면 청주·청원 통합을 위한 대의(大義)라기 보다는 국회의원 출마를 위한 명분쌓기에 따른 것이지만, 어째든 한 시장은 지금까지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치러진 민선 4기 청주시장 선거에서 청주시장에 출마한 전 청원군수는 치열한 당내 경선을 뚫고 후보로 선출된 남상우 현 시장에 의해 고배를 마셨다.
만약, 미국 출장 후 통합 찬성으로 돌아서는 과정에서 청원군민들에게 이해와 용서, 조언을 진심으로 구하고 청원군수 출신으로 통합시장에 출마해서 청원군이 손해를 보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동의를 구했다면 아마도 판세는 달라졌을 것으로 기억한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김 군수가 군수직 상실 위기를 맞으면서 청원군 내 통합 반대운동은 더욱 더 결속력을 다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 반대의 선봉에 섰던 김 군수에 대한 아쉬움과 미안함, 그리고 '고집'으로 표현될만큼 우직했던 그의 리더쉽이 청주·청원 통합 반대의 도화선이 될 수도 있다.
통합의 가장 큰 걸림돌은 청원군이 아닌 청주시라는 세간의 여론을 주목해야 한다. 청주시가 진정성을 보여줄 시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