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교원능력개발평가가 2010학년도부터 초·중·고 모든 학교에서 전면 시행된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는 자기를 가르쳐 주는 담임과 모든 교과 선생님을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수업과 학생의 생활지도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학부모와 동료는 물론 제자들에게도 평가받아야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았다던 우리의 선조들이 알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기만 하다. 공교육이 붕괴되고, 교권이 땅에 떨어지는 이 마당에 교원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교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도 있다. 하지만 누군가가 자신을 평가하는 것에 대해 많은 교원들이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교원능력개발평가는 피할 수 없는 산이 되었고, 즐거운 마음으로 그 산을 넘어야 할 때가 되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원의 수업과 생활지도에 대한 것을 설정된 지표대로평가하여 그 결과를 본인에게 통보하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그동안 잘 몰랐던 부분을 깨닫게 되고 자신을 돌아보는 좋은 계기가 되고, 연수와 자기 연찬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의 경우 낮은 점수를 얻은 교원은 필히 연수를 받아야 하고, 그런 상태가 계속 되면 부적격 교원으로 퇴출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런 교원에 대한 처우 문제를 구체적으로 거론하고 있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외국과 같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일부 학생과 학부모가 개인적인 감정을 앞세워 공정하지 못한 평가를 할 경우를 우려하는 교원도 있다. 그래서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에게 인기작전을 펼쳐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교육수준이 높아진 만큼 학부모의 수준도 높아졌으니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초등학생 중에는 판단력이 흐린 학생도 있어 걱정스럽기는 하지만, 학생도 부모도 어느 정도 냉철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을 가져 본다. 학생들도 재미있게 해 주고, 우선 먹기 좋은 단 음식만 주는 교사를 좋게 평가하기 보다는 진심과 실력을 바로 볼 줄 아는 혜안을 갖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제 교원은 누군가에게 평가 받는 것에 대해 두려워 하지 말고, 자신의 능력 개발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교사의 생명은 수업인 만큼 수업에 대한 기술을 연마하고, 수업의 달인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학생의 생활지도에도 사랑과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 물론 대다수의 교사들이 이미 다 실천해 오고 있는 일이다. 그러니 두려워 말고 당당히 평가 받아 철밥통이라는 오명을 벗고 학생과 학부모 동료들 앞에 자신의 위상을 드러내야 한다.

누군가를 평가하는 자도 누군가로부터 평가 받는 자에게도 올바른 준비가 필요하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마음가짐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필요하다. 단순히 눈에 보이는 것만 보고 평가하지 말고, 내면 깊숙한 곳까지 꿰뚫어 볼 수 있는 마음의 눈을 가져야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양준목
괴산 목도초 교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