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천안함 사태로 사회분위기가 가라않지 않은 상황이고, 전국민 애도기간이 선포되어 있다. 많은 국민들이 반신반의 하면서 정말 그랬을까? 정말 그랬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그럴 리가 없을 텐데 하는 것은 엄청난 국제사회의 파장을 몰고 올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서도 '자작극이다' 또 '선거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라는 의혹의 눈초리로 누리꾼들의 공방이 오가는 것을 보고, 한심하기도 하고 역시 언론이 살아있는 민주사회로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댓글을 달았든 자기의 생각을 올렸든 관계없이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이 수반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예전 공비침투사건이나 잠수함 사건때와는 사회적 환경이나 네트워크, 사회적 책임을 묻는 잣대가 바뀌어져 있다.
2010 지방동시선거가 한 달 남짓 남아 있다. 선거운동이나 방법은 선거법에 규정되어 있고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잘 관리할 것이다. 최근 선관위가 고심하고 있는 트위터 선거운동의 이용규제에 대한 논란거리가 일고 있다. 트위터란 단순메시지나 전자우편을 통해 트윗(twit ; 140자 한도내의 문자)을 웹사이트로 보내는 일로서 미국 오바마대통령이 효과를 보았던 방법이라고 한다.
사회적네트워크서비스가 확산되므로 이를 활용한 선거활동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하는지 한계를 설정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이번 선거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트위터를 이용한 허용 및 금지내용을 발표했는데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 악성 네티즌을 막아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간의 상충으로 볼 수 있다.
책임이 동반되지 않는 무책임한 언행은 반드시 발본색원해야 한다. 트위터와 마찬가지로 작은 조직사회에서의 입소문은 신속한 정보전달과 전파력에 힘입어 "-카더라 "로 상대후보를 찍으면 안된다고 연결되어, 파장이 일어날 수 있다.
시내 s대학 교수회장선거에서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선거권이 제한되는 일이 있었고, c대 교수회 이메일이 일괄 삭제되는 일도 발생하였다. 또다른 c대에서는 선거과정에서 "학교발전기금 1억원을 가로챘다"는 소문을 내 사실관계 확인을 요구하자 '떼어 먹으려다 들켜서 나중에 냈다'고 말을 바꾸어 상대후보를 곤혹스럽게 만들었던 허위사실이 유포되기도 했다.이 돈은 학생회 활동지원기금을 화염병으로 태워버리기 보다는 뜻있는 일에 쓰자는 취지로 의기 투합해 조성했고, 1억원으로 증식시켜 후배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해오고 있어 "충북지역 학생지도의 표상"이다. 그들은 250원 수고비를 공제한 후원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