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천년의 사랑이 베인 온달산성, 그리고 4억5000만년 동안 자연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는 온달동굴.
지난해 이맘때쯤 갑자기 쏟아진 국지성 폭우로 물에 잠겼던 온달 관광지가 올해 말끔히 새단장해 여름방학을 맞은 가족들에게는 테마여행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온달관광지는 단양에서 영월 방면 59번 국도를 타고 군간교에서 우회전하면 595번 지방도로와 만난다. 이곳 영춘교에서 우회전해 남천교를 지나 직진하면 온달산성과 온달동굴을 살펴볼 수 있다.
온달산성은 둘레 683m, 동쪽 높이 6m, 남북쪽 높이 7-8m, 서쪽 높이 10m, 성의 두께 3-4m의 옛 석성이다. 영춘을 돌아 흐르는 남한강 남안의 산에 돌로 축성한 이 성은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 온달이 신라군의 침입때 이 성을 쌓고 싸우다가 전사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또 온달산성 바로 아래에는 천연기념물 제 261호로 지정되어 있는 온달동굴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곳은 온달장군이 전쟁도중 쉬던 곳이라 전한다.
온달동굴은 석회암 지대에 형성된 천연동굴로 생성 시기는 최장 4억5000년 전으로 추정되고, 총 길이 760m로 입구에서 동쪽으로 길게나 있는 주굴과 이곳에서 갈라져 나간 다섯 갈래의 굴로 이루어져 있다.
동굴 내부에는 여섯 곳의 광장이 있고 군데군데 다채로운 석순과 종류석이 발달해 있다. 동굴내부에는 수심 80cm-1m 정도의 물이 흐르며, 동굴내부 온도는 대개 16℃내외이고 겨울은 14℃내외이다.
이처럼 온달산성과 온달동굴을 중심으로 한 영춘면 일대에는 온달의 발자취가 엊그제 일처럼 생생하게 전승되고 있다.
영춘면 장발리 '선돌'에는 온달장군의 누이동생이 온달을 돕기 위해 온달산성으로 달려오다 장발리에서 온달의 전사 소식을 듣고 대경실색해 제자리에 선 채 숨이 막혀 죽어 그 한에 사무친 시신이 돌로 변했다는 전설이 전한다.
이처럼 온달산성과 온달동굴을 중심으로 한 영춘면 일대에는 온달의 발자취가 엊그제 일처럼 생생하게 전승되고 있다.
단양군은 온달과 평강공주에 얽힌 이야기를 테마로 온달동굴과 온달산성을 하나로 묶어 온달관광지로 조성, 매년 10월에 '온달문화축제'를 열어 이들의 혼을 달래 오고 있다.
또 온달관광지내에는 올 2월에 준공된 47동에 이르는 연개소문 세트장이 건립돼 역사의 흐름을 알수 있는 새로운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어 테마여행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단양=이상복 기자
- 기자명 이상복
- 입력 2007.08.09 17:48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