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서울 다보성미술전시관에서 현존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1377)보다 최소 138년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금속활자 12점이 공개되었다.

이를 발표한 서지학자 남권희 교수는 국내 서지학회의 권위자여서 언론에서도 그의 발표에 관심을 기울이는 듯 하다. 남 교수는 고려 고종 26년(1239)에 목판본으로 찍어낸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 보물758호) 끝 부분에 '이 책의 원본은 남명선사가 문종 30년(1076년)에 금속활자로 편찬했지만 더 전해지지 않아 목판으로 복각해 찍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이를 근거로 '증도가'가 직지보다 앞선 '금속활자'라 하고, '증도가'를 찍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12점의 금속활자 이름을 '증도가자(證道歌字)'라 붙였다.

남 교수의 발표가 사실로 밝혀지면 한국의 인쇄문화 위상은 높아지겠지만, 반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세계 인쇄술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직지'는 현존 최고 금속활자본으로서의 빛이 바래게 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남 교수의 이 같은 주장은 지난 5년간 연구해 진본을 확신한다지만 학계에서 먼저 연구를 검증받고 발표하는 게 순서였기에 설득력이 약해 보인다. 진본 여부는 보존 과학적으로도 판별이 쉽지 않다고 한다. 이점을 국내 서지학회의 권위자인 남 교수가 모를 리 없을 테지만 그는 발표했고 국내 언론의 집중을 받고 있다.

청주시는 이를 계기로 지금까지의 직지 정책과 향후 직지 정책 전반에 대해 치밀한 검토를 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직지보다 더 빠른 금속활자와 금속활자본이 발견될 수 있음을 예상하면서도 지금껏 청주시는 직지에 대한 홍보에만 집중해왔다. 어쩌면 모래 위에 건물을 짓고 있었던 건 아닐까.

물론 금속활자로 찍어낸 책과 금속활자 자체는 엄연히 구분되지만 '증도가'의 원본에 대한 기록이 있기 때문에 만약 '증도가자'로 간행한 금속활자본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이 된다면 현존 최고 금속활자본으로서의 '직지'의 지위는 위태롭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청주고인쇄박물관의 대응과 역할이 커졌다. 이미 고인쇄박물관에는 전문 학예사들이 있기에 학문적으로 금속활자와 직지에 대한 축적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응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

이번 '증도가자'의 발표로 청주시는 '직지'에 대한 정책을 수정 내지는 새롭게 정립해야한다. 직지는 영인본이고 직지를 간행한 흥덕사지는 외면받고 있으나 청주 전역엔 직지의 고장을 알리는 외부 싸인물과 조형물만 빛난다. 직지를 빌미로 한 이런 외형적인 예산 집행은 대거 삭감했으면 한다. 더 늦기 전에 직지 예산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 10억 여 원(정확한지 확인 부탁합니다.)을 들여 직지체를 복원하고 이를 재현하는 등 많은 사업이 진행 중일 텐데 과연 의미 있고 적적한 것인지 의문이다.

문화유적엔 출토지역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직지'로 인해 청주가 주목을 받은 것도 흥덕사지에서 직지가 간행됐다는 사실 때문이다. 그런데 그동안 청주는 흥덕사를 그냥 묻어두기만 했다. 흥덕사지를 종교적 이해관계로, 선거의 영향 등으로 그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지금껏 청주시는 흥덕사지 복원 사업과 운영에 있어 어정쩡하기만 하다. 그 가치를 살리는 일에 청주시는 관심을 가져야할 책무가 있다.

또한 청주는 직지를 통해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어우르는 인쇄문화의 도시로 거듭나야 한다. 먼저 국내외 고서들을 체계적으로 소장하고 연구하는 것은 단시일에 개인이 할 수 없는 일이다. 이 같은 일을 청주고인쇄박물관에서 해왔을 것으로 믿는다. 이 같은 컨텐츠를 구축하지 못했다면 그동안 해왔던 청주시와 직지의 브랜드 구축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직지는 성과도 있었으나 청주엔 직지 이미지만 있을 뿐 그 이상의 직지는 없다. 그럼에도 청주가 '직지'의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 김태철 청주대 교수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