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네·도리깨에 비해 노동력 · 시간 절감

[충청일보]벼, 보리, 콩, 팥, 옥수수, 땅콩 등의 곡물 알곡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탈곡이라 한다. 선조들은 탈곡에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했는데, 그 대표적인 것들이 그네, 도리깨, 탈곡기 등이 있다.

그러나 탈곡 도구 중 그네와 도리깨 같은 것들은 탈곡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더 많은 양의 곡식을 짧은 시간 내에 탈곡하기 위해서 만들어 낸 것이 탈곡기, 즉 인력 탈곡기이다.

인력 탈곡기는 요즈음의 벨트와 풀리처럼 발로 페달을 밟아 이 동력을 줄이 축으로 전달해 축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으로 급동을 돌려 탈곡을 하게 된다. 급동의 주위에는 뾰족한 고리 형태의 철사(급괴, 급치)가 나사선 모양으로 달려 있어 벼, 보리 등의 이삭이 달린 곡물을 넣게 되면 급동의 회전으로 급괴가 곡물을 때리거나 훑어서 낟알을 떨어뜨리게 된다.

탈곡기의 급동아래로 떨어진 낱알이나 지푸라기 등은 풍구에서 나오는 바람에 의해 무거운 낱알은 아래쪽의 이송장치에 떨어져 곡물만 모아져 옮겨지고, 가볍거나 불완전한 낱알과 검불 등은 밖으로 날려보내게 된다.

탈곡기 급동의 회전력은 사람이 발로 밟는 힘을 이용하는데, 크랭크 기구를 이용해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회전속도는 치차를 이용해 증속한다.

인력 탈곡기는 1900년대 초기에 우리나라에 도입된 연장으로 보통 한사람이 볏단을 준비하고 두 사람이 탈곡기를 밟으면서 볏단을 먹이는데 앞사람이 애벌떨이를 하고 다음사람이 볏단을 받아 마저 떤다. 그러나 일할 사람이 적거나 탈곡할 양이 많지 않으면 혼자서도 할 수 있다. 세 사람이 하루 40여 가마의 벼를 탈곡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인력탈곡기도 역시 힘이 많이 들고, 낱알과 검불이 정확히 선별되지 않아 별도의 선별 작업을 해야 하며 낱알의 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요즘의 기계화된 탈곡기는 이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전체의 탈곡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그 기본 원리는 인력 탈곡기와 같다.

▲ 윤용현 학예연구관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