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에는 수많은 생명체가 존재하고 있으며 모두의 생명체들은 그 자체를 보존하기 위하여 먹고 살아가는 방법은 다르겠지만 먹어야만 존재할 수 있다는 공통된 삶에 원칙이 있다. 우리는 흔히 말하기를 살기위해 먹어야 하는가 아니면 먹기 위해 사는 것인가를 두고 사랑방 잡담처럼 답이 없는 논쟁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러한 논쟁은 어느 한쪽에도 아무런 비중을 둘 수 없다. 왜냐하면 모든 생명체는 먹어야 하고 먹어야 만이 자신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고 생명체가 유지되므로 모든 활동이 진행된다. 이렇게 반복되는 과정이 삶에 굴레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얻어지는 크고 작은 수확이 힘을 비축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원천적인 무기가 될 수 있다.

인간이 존재하고 있는 지구상에는 원시림에서 이름 모르게 자생하고 있는 작은 풀벌레로부터 고도의 지능으로 화려한 삶을 즐기는 인간이라는 우수한 생명체가 있다. 그러나 우리 인간들은 너무나 계산적인 삶을 만들어가는 이기주의적인 무거운 생활고를 격고 있다고 보면 된다. 인간이 살아 숨 쉬고 있는 이 땅은 모든 생명체들에게 골고루 분배된 터전인 것이지 유독 인간에게만 주어진 독점 재산이 아니다. 소중히 가꾸고 보살펴야 할 이 땅을 더럽히고 병들게 만드는 장본인이 인간이라는 사실을 다른 생명체들이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인간은 지구상에서 가장 비열하고 포악스러운 생명체로 저주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넓은 지구상에 조그마한 나라 대한민국이라는 명함을 가진 땅 위에서 모두들 나름대로의 삶에 터전을 가꾸면서 등 따뜻하고 배부른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한 핏줄을 이어받은 가까운 우리 형제들이 북녘하늘 아래서 우리의 본의가 아닌 제3자들의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 만들어진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굶주림에 텅 빈 배를 부둥켜안고 이 세상에 태어난 자신들을 원망하면서 긴 한숨의 여운을 남긴체 세상에서의 종말을 고하는 딱한 북한 주민들의 거렁뱅이 생활을 우리는 한번쯤이나마 생각해 보았는가! 같은 하늘 아래서도 어떤 사람들은 복에 겨울정도의 풍족한 생활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강냉이 죽 한 그릇도 먹지 못해 뼈와 가죽이 맞붙은 체로 인간으로서의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마저 상실한 체 기약 없는 내일을 기다리며 살아야만 하는 사람들이 수 없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배고픔에 굶주리고 있는 그들이 지금 우리들이 아무 생각 없이 버리고 있는 음식들을 보게 된다면 우선은 부러움과 배고픈 손길이 먼저 일지는 모르겠지만 이성을 찾아 우리들에 속 빈 살림살이를 알게 된다면 이처럼 엄청나게 버려지고 있는 음식물이 소장되고 있는 현실을 보고 그들은 우리를 보고 과연 훌륭한 선진국의 모범국민으로 보겠는가!

우리들의 선인들은 예로부터 이 땅을 화려한 금수강산이라고 하였고 부모를 공경하고 예의가 바르다고 하여 동방예의지국이라고 자칭하지 않았던가! 쌀 한 톨을 소중히 생각하고 아낄 줄 아는 절약하는 정신을 가르쳐 주는 우리의 교육풍토가 해외문물에 휘말려 퇴색하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이 우리의 앞날을 걱정스럽게 만들고 있다. 최고의 지성인을 배출하는 대학이 학문과 지식을 넓히고 완성된 인간으로 성장하는 길을 닦는 엄청난 연구와 노력이 요구되는 곳이지만 들어가는 것으로 진이 다 빠져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대학이 들어가기만 하면 만사가 끝나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인간의 진리를 모르는 사람이 아무리 높은 고관대작이 된다고 해도 이것은 뭇사람을 괴롭히는 자신도 모르는 죄를 범하게 된다는 것이다.

풍족한 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어린 후세들은 인간의 노력에는 관계없이 언제나 자연이 가져다주는 무궁한 식량창고가 언제나 영원히 곁에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의 주위에는 어렵고 힘든 생활고에서 하루세끼 먹는 걱정을 해야 하는 가정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야한다. 지체장애자를 비롯하여 소년소녀 가장들 우리 모두가 돌봐야 될 형제들이고 보면 가진자 들은 조금이나마 자신의 생활을 절약하여서라도 어려운 이웃을 보살필 수 있는 인간들만이 할 수 있는 아름다운 미덕을 베풀 수 있는 마음에 여유를 가져야 하겠다./윤한솔 홍익불교대학 철학교수

▲ 윤한솔 홍익불교대학 철학교수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