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사람이 있고 나쁜 사람이 있는 모양이다. 아무개는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무슨 일을 하자면 사람이 제일 문제라면서 맡길 사람을 찾을 때 그 사람의 됨됨이를 보려고 한다. 물론 오늘날에는 인품에 앞서 그 사람의 능력을 먼저 따지려는 풍조가 앞서고 있다. 이러한 풍조에 너무 매달리다 보면 뒤끝이 별로 신통찮게 끝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사람의 인품과 능력은 서로 다를 수가 있기 때문이다. 능력은 재주에서 비롯되고 인품은 덕에서 비롯되는 까닭이다.
덕(德)은 베푸는 마음을 앞세우지만 능력은 요구하는 마음을 앞세운다. 옛날은 스포츠를 놀이로 했지만 이제는 커다란 기업이 되어 가고 있다. 그래서 엄청난 돈을 주고 선수들을 사오게 되고 팔려가기도 한다. 연봉을 얼마나 받느냐를 놓고 사람의 값을 따지게 된다. 스포츠에만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니다. 이른바 전문 경영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사업수완의 능력에 따라 고임금을 받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이 또한 월급을 얼마나 받느냐를 두고 사람의 값을 따지는 경우이다. 이런 때의 사람값은 능력을 기준으로 삼지 그 사람의 인품으로 따지는 것은 아니다.
재주가 앞서면 덕(德)이 모자란다고 한다. 재주만 믿고 천방지축으로 나불대고 저만 잘났다는 착각에 사로잡힌 사람은 남을 얕보고 존중할 줄을 모른다. 모든 것을 지식의 양으로 따지려고 하고 사람과 사람사이에 있어야 할 도리를 저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는 모든 것을 이용의 대상으로만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덕 있는 사람은 주변을 살펴서 무엇이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는가에 신경을 쓴다. 덕은 사람의 허물을 용서하며 덮어주고 약한 사람을 감싸 주면서 힘을 북돋아 주어 서로 함께 살맛을 나누게 한다. 선을 위하여 이롭게 하는 것이 덕이므로 덕은 사람을 외롭게 하지 않는다.
덕이란 사람을 이용하지 않고 돕는다. 그래서 우리네 인간들은 덕행(德行)을 삶의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한사코 재주만 앞세워 세상을 얕잡아 보려고 한다. 이러한 성품 탓으로 사람들은 서로 싸움을 하듯이 팽팽히 삶의 줄을 당기면서 제 몫만 챙기려고 한다. 왜 우리가 사는 세상은 살벌할까? 덕 있는 사람을 무능하다고 흉보는 탓으로 우리는 피 마르게 살 수 밖에 없다. 사람은 가만히 멈추어 있는 돌이 아니다. 끊임없이 움직인다. 그렇다고 끊임없이 흐르는 물 같은 것도 아니다. 한 갈래로만 흐르는 물은 가는 길만을 따라 흐른다. 그러나 사람의 움직임은 수만 갈래로 뻗치고 굽이친다. 몸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마음도 움직인다. 무엇보다 인간에게는 마음의 씀씀이가 중요하다.
인간이 산다는 것은 마음을 쓰는 일이라고 보아도 된다.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행동이 드러난다. 선하게 마음을 쓸 수도 있고 악하게 마음을 쓸 수도 있으며 눈치를 보면서 그것을 쓸 수도 있다. 선하게 마음을 쓰는 것을 덕행이라고 한다. 가장 불행하고 살벌하게 잔인한 시대는 덕 있는 사람을 바보처럼 바라보려고 한다. 덕 있는 사람은 남을 이롭게 하는 것으로 만족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러한 만족은 항상 자기를 손해 보게 한다고 무서워한다. 그래서 남에게 덕행을 요구하면서도 스스로는 덕을 행하는데 인색하다는 것을 감추려고 한다. 사람들이 교묘하게 쓰고 있는 탈은 바로 이러한 숨김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성인은 우리로 하여금 그러한 탈을 벗어 던지라고 하는 것이다. 덕에 인색한 나 자신은 부끄럽기 때문이다.
현대의 삶은 승부의 세계이다. 승부의 세계는 경쟁을 인정하고 들어가기 마련이다. 경쟁이란 무엇일까? 남과의 경쟁이 아니라 바로 자기와의 경쟁을 말한다. 남하고 싸워서 이기려고 하는 사람은 지게 마련이고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려고 하는 사람이 진정한 승자임을 알아야 한다.
현대인은 이러한 승리를 믿지 않으려고 한다. 인생은 싸움이며 그 싸움은 남과의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믿음으로 무장하고 살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대인의 믿음은 반성 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왜냐하면 패배의 근원이 남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에게 있기 때문이다. 덕을 행하는 사람은 패배하지 않는다. 항상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므로 항상 승리자가 된다. 하루를 살았으면 그 하루를 마감해 버릴 것이 아니라 반성해 보아야 한다. 덕에 부끄럼이 없는 하루였는가를···!

/윤한솔 홍익불교대 교수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