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미영 2M 인재개발원장

우리의 삶은 어찌 보면 사랑에 관한 것이다. 사랑은 우리 삶의 최우선 순위여야 하고 최고 목표여야 한다. 사랑은 우리의 삶에서 하나의 좋은 부분이 아니고 가장 중요한 부분이어야 한다. 즉, 사랑이 우리 삶의 최고 목표가 돼야 한다. 그러나 이기심 없이 사랑함과 사랑하는 방법을 배움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자기 중심적인 우리의 본성에 정반대 되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사랑하는 방법을 평생 배워야 하고, 실천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 공감할 것이다.

사랑을 우리 삶의 최우선에 둬야 할 이유는 사랑은 영원하기 때문이다. 이 땅에서 가장 오래 영향을 끼치는 것은 우리의 성과나 재산이 아니라 우리가 관계 속에서 다른 사람을 어떻게 대했느냐다. 즉, 우리가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우리가 하고 있는 일, 우리가 만나고 있는 사람들에 얼마나 사랑을 쏟았는지 그 사랑은 유산으로 남게 되기 때문이다. 가끔 우리 삶이 끝나갈 때 주위에 두고 싶어하는 것은 물건이 아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사람이다. 즉, 우리가 사랑하고 관계를 맺었던 사람들이다. 우리 삶의 마지막 순간에 모든 사람들은 그들이 맺어왔던 관계들이 삶의 전부였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것을 좀 더 빨리 깨닫는 것이 현명함을 알면서도 그리 쉽지만은 않음을 알기도 한다.

우리 삶에서 어떤 것의 중요도는 우리가 그것에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느냐로 측정할 수 있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록 그것이 그만큼 중요하고 소중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의 우선순위를 알고 싶다면 그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보면 가늠할 수 있다. 시간은 우리가 누군가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이다. 시간은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돈은 더 많이 받을 수는 있지만 시간을 더 만들 수는 없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우리의 시간을 들인다면 우리는 그 사람에게 다시는 돌려받지 못할 삶의 일부를 주는 것이다. 우리의 시간은 우리의 삶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은 우리가 누군가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이자 동시에 사랑의 가장 좋은 표현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내가 어떤 일에 많은 시간을 쏟고 있다는 것은, 그 일과 관련된 사람들에 대한 사랑의 표현일 수 있다. 우리는 사랑하지 않고도 무엇을 내어줄 수 있지만 내어주지 않으면서 사랑할 수는 없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즉, 사랑은 포기를 의미한다. 안락함, 목표, 안전, 돈, 에너지 또는 시간 등 우리가 선호하는 것들을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기꺼이 양보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 사람보다 일이나 물건이 더 중요했던 순간들이 우리에게 얼마나 있었는지, 우리의 시간을 무엇과 누구를 위해 집중하고 사용하고 있는지, 누구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려 노력하고 있는지, 그것을 위해 어떤 희생을 치러야 하는지 등을 생각하며 오늘을 살아가야 한다. 왜냐하면 삶을 가장 아름답게 사는 방법은 사랑하는 것이고, 사랑에 대한 가장 좋은 표현은 시간이며, 사랑하기 가장 좋은 순간은 바로 지금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은 그 누구, 그 무엇보다 나 자신을 사랑할 때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이야기처럼 우리 자신을 사랑할 수 있을 때 우리가 속한 사회와 이웃을 돌아보며 그들을 위한 사랑의 실천적 행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 가치 있는 시대적 소명, 즉 비전을 구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가장 좋은 표현은 우리 자신을 위한 시간을 얼마나 갖고 있는냐다. 그러한 의미에서 내 삶의 목표를 가지고 비전을 구체화하며 그 비전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시간을 투자하고 노력 중이라는 것은 곧 나를 가장 사랑하는 방법이다.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우리 자신의 '나 다움'을 발견하기 위한 아낌없는 사랑을 우리 자신에게 쏟아부어야 할 때임을 기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