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이 지난해부터 추진한 외부환경 데이터 기반 스마트 양액공급 시범사업이 농작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농기원은 10일 이 사업을 추진한 결과 시설고추의 생산성이 10a당 470㎏에서 510㎏으로 8.5% 향상했다고 밝혔다.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소득 또한 10a당 1570만원에서 1900만원으로 21% 증가했다. 양액 사용량은 기존 120㎏에서 108㎏으로 10% 줄었다.

디지털농업은 사물인터넷(l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 고효율 지능형 정밀 농업을 말한다.

농업의 전 과정을 자동화·디지털화해 빅테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AI를 적용해 농사의 편리성·생산성·품질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양액공급 시스템은 고온과 장마, 겨울철 일조부족 등 외부환경의 계절별 화와 일별 기상에 자동 대응해 양액농도와 배합조성을 조절한다.

도 농기원 관계자는 "스마트 양액공급 시스템 기술을 일교차가 큰 기간에 출하하는 시설딸기 재배에 도입하면 양액비용 22% 절감, 생산량 17% 증대, 소득 18% 향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배명식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