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의 ‘장유유서’ 발언에 대한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정 전 총리는 지난 25일 TBS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의힘 당대표 경선에서 이준석 돌풍이 부는데 대해 “긍정적으로 보면 새로운 세대를 받아들이고 변화를 수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또 사실 대선 관리라고 하는게 그렇게 간단하지 않아 경륜없이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거기다가 이제 당력을 하나로 집중시켜야 하는데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문화가 있지 않냐. 장유유서, 이런 문화가 있다”며 “그런 변화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보지만 고민이 많을 것이다. 민주당은 그보다 더 큰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이준석 전 최고위원은 즉각 자신의 SNS를 통해 “제가 말하는 공정한 경쟁이라는 것은 시험 과목에서 장유유서를 빼자는 것”이라며 “그것이 시험 과목에 있으면 젊은 세대를 배제하고 시작한다”고 반박했습니다.

논란이 확산하자 정 전 총리는 “맥락을 무시하고 보도하면서 발생한 해프닝”이라며 “장유유서를 지켜야 한다는 게 아니라 그런 문화가 있어서 어려울 것이라는 의미였다”면서 “젊은 후보가 제 1야당인 보수 정당의 대표 선거에서 여론조사 1위에 오른 것은 큰 변화이고 그런 변화가 긍정적이라는 평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정 전 총리는 “(언론이) 취지를 간과하고 특정 단어만을 부각해서 오해를 증폭시키는 상황이 허탈하고 안타깝다”며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