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 강화 기조 내년까지 이어질 수도

주요 은행들이 줄줄이 가계대출 문을 걸어잠그고 있다. 정부는 가계부채 급증세에 따라 당분간 규제 강화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 연말 대출 절벽 우려도 나오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는 정부가 제시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 5~6%에 육박하고 있다. 주요 은행들의 신규 대출 중단 사태가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주요 은행들의 추가 대출 여력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가계대출이 워낙 급증세를 보인 데다가 NH농협은행이 가계부동산담보대출 신규취급을 중단하면서 생긴 풍선효과가 다른 은행들의 대출을 가속화 시킨 영향도 있다.

KB국민은행은 오는 29일부터 전세자금대출과 집단대출 등의 한도를 대폭 축소하기로 지난 23일 발표한 바 있다. 가계대출 잔액이 금융당국이 제시한 증가율 목표치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하나은행도 다음달 1일부터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줄이기로 정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다음달 중 추가 대출 규제 발표를 준비하고 있어 대출받기가 더욱 까다로워질 수도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 1년반 동안 코로나19 극복과정에서 신용팽창이 빠르게 진행돼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금융안정을 위협할 우려가 있어 향후 민간신용 공급조절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7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경제·금융시장 전문가 간담회'를 갖고 국내·외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고 위원장은 "각종 잠재 위험요인의 뇌관을 '선제적'이고 '안전'하고 '확실'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 우리경제의 가장 큰 잠재 리스크인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강도높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도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금융불균형 심화 속에서 우리나라도 가계부채 등 잠재위험 관리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당국이 내년에도 가계대출 규제를 강하게 죌 것이라 시사하면서 은행 대출 축소는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고 위원장은 "가계부채 문제가 오랜 기간 누적·확대돼 온 만큼 총량 관리의 시계를 내년 이후까지 확장하고 대책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강도 높은 조치들을 지속적·단계적으로 시행해나갈 것"이라며 "10월 중 상환능력 평가의 실효성 제고에 초점을 맞춘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민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